(웹이코노미) 전북특별자치도의회 김정수 의원(익산2)이 지난 26일 제417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도정질의에서 ‘노인일자리 사업의 문제’를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전북자치도는 이미 ‘19년 노인인구 비율이 20.38%에 이르며 전국 평균보다 5년 빨리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24년 기준 노인인구 비율은 25.29%로 전국 평균 20.04%보다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도내 노인인구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더 심각한 실정으로 노인세대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심각한 빈곤문제를 겪고 있고 건강악화, 사회적 고립 등 또 다른 문제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이어 김 의원은 “정부는 2004년부터 노인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공익활동사업은 1:1.3의 경쟁률을, 역량활용사업은 1:2.2의 경쟁률을 보일 정도로 호응도가 높다”고 말했다.
따라서 김 의원은 “전북자치도만의 특별한 ’전북형 역량활용 노인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고, 특별히 노인일자리 사업 미참여 어르신을 위한 소일거리 제공 형식의 노인일자리 사업을 발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어르신 중 함께 일하던 어르신의 죽음을 경험하는 경우 정서지원 및 심리상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또한 김 의원은 “정부가 지난해 5월부터 경로당 중심으로 주 5일 식사제공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도내에는 현재 6,880곳의 경로당 중 40%에 해당하는 2,807곳이 제공하고 있다”며, “정부 정책 추진 2년째가 되도록 대부분 경로당에서 주 5일 식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으나 ’23년부터 올해까지 부식비가 포함된 운영비가 월 16만 원으로 동결된 상태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의원은 “추경에라도 예산을 확보해 경로당 부식비를 인상하고, 급식지원 인력도 추가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관영 도지사는 “‘전북 노인일자리 지역협의체’를 통해 전북형 역량활용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도내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연계하여 어르신들의 정서지원과 심리상담을 충분히 지원겠다”고 밝혔다. 또한 “경로당 식사 제공 실태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시군 및 노인회 등 현장 의견을 청취해 관련 예산 확보를 위해 시군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