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8 (일)

  • 구름조금동두천 24.0℃
  • 구름조금강릉 25.4℃
  • 맑음서울 25.7℃
  • 맑음대전 27.2℃
  • 박무대구 25.6℃
  • 박무울산 26.0℃
  • 구름많음광주 25.3℃
  • 구름많음부산 30.2℃
  • 맑음고창 25.2℃
  • 흐림제주 29.0℃
  • 맑음강화 24.2℃
  • 맑음보은 25.3℃
  • 맑음금산 26.9℃
  • 맑음강진군 27.4℃
  • 흐림경주시 25.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종합

GIST, 물리학 ‘109년 난제’ 풀어 미시-거시세계 각운동량 전달 메커니즘 밝혀

물리‧광과학과 이종석 교수팀, 인공구조물 통해 ‘카이랄 열포논’ 세계 최초 직접 관측…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 발견(1915년) 후 미시→거시세계 각운동량 전달 원리 난제로 남아
“포논이 자기 수송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향후 포논 공학과 스핀 공학의 융합연구 초석 마련”… 국제학술지《Nature Nanotechnology》게재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물리․광과학과 이종석 교수 연구팀이 자성-비자성 초격자 인공 구조물에서 각운동량을 지니고 있는 카이랄 열포논의 생성을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각운동량 보존 법칙은 에너지 보존 법칙, 운동량 보존 법칙과 함께 물리현상을 설명하는 가장 근본적인 세 가지 법칙 중 하나로서, 고전역학으로 기술되는 거시세계와 양자역학으로 기술되는 미시세계에 모두 적용된다.

 

피겨스케이팅 선수가 회전할 때 몸을 움츠리는 동시에 팔을 오므리는 행동은 회전 관성을 줄여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헬리콥터에서 꼬리 날개를 활용하여 균형을 잡는 것은 실생활에서 각운동량 보존 법칙으로 설명되는 사례이다.

   
1915년,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과 반더르 요하네스 더 하스 (Wander Johannes de Hass)는 미시세계에서 거시세계로도 각운동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를 통해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지만 어떠한 원리로 미시세계에서 거시세계로 각운동량을 전달하는 지에 대해서는 초고속 측정 기술의 한계로 1915년 이후 100년이 넘도록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스핀-격자 상호작용을 통해 미시세계 속 스핀에서 격자들의 집단 움직임인 포논으로 각운동량을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2022년 독일 콘스탄츠 대학교(Universität Konstanz) 연구팀에 의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이때 각운동량을 전달받은 포논을 카이랄 포논이라고 부르며, 이는 미시세계와 거시세계를 이어주는 핵심적인 각운동량 전달 매개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카이랄 포논의 생성(수 피코초)과 아인슈타인-더 하스 효과(수 밀리초) 사이에 방대한 시간적 차이가 존재하며, 그 사이에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지는 지금까지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연구팀은 자성 산화물 SrRuO3와 비자성 산화물 SrTiO3을 결합시킨 초격자 형태의 인공 복합 구조물(artificial heterostructure)을 만들었고, 보스-아인슈타인 통계를 따르는 카이랄 열포논의 생성을 세계 최초로 직접 관측하여 1조분의 1초와 천분의 1초 사이의 각운동량 전달의 수수께끼를 푸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광여기를 통해 자성 산화물 루테륨산 스트론튬(SrRuO3)에서 초고속 자기소거를 유도하고, 카이랄 열포논을 생성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카이랄 열포논은 인접한 비자성 타이타늄산 스트론튬(SrTiO3)층으로 전달되고 동적 다강성 효과를 통해 큰 자기 모멘트를 형성하게 된다.

 

연구팀은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한 시분해 자기광학 커 효과 (Magneto-optic Kerr effect) 측정을 통해 SrRuO3/SrTiO3 초격자 내의 카이랄 열포논이 생성하는 자기 모멘트를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하였고, 카이랄 포논이 생성된 직후 물질의 회전이 발생하기 전까지 카이랄 열포논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이종석 교수는 “이번 연구는 포논이 자기 수송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결과로서 스핀 공학과 포논 공학의 접점이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는 한편, 향후 자기 및 열 기능성이 결합된 다기능성 나노 소자 개발에 대한 중요한 디딤돌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GIST 물리‧광과학과 이종석 교수가 지도하고 최인혁 박사과정생이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사업, 신진연구자사업,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기초 및 응용 연구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2024년 7월 12일 온라인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