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7 (금)

  • 구름많음동두천 -0.4℃
  • 구름조금강릉 4.5℃
  • 흐림서울 1.4℃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4.0℃
  • 맑음울산 4.2℃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5.4℃
  • 구름많음고창 5.7℃
  • 흐림제주 6.7℃
  • 구름많음강화 2.7℃
  • 구름많음보은 2.3℃
  • 구름많음금산 3.0℃
  • 구름조금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정부부처·공공기관

"북한서 생산한 물품 중국산 둔갑 후 국내 수백억대 유통...해경 해체 이후 단속 전무"

김현권 의원 "해양경찰청은 원산지 위조 물품 반입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해야...뒤늦게 국가정보원의 감사 지적에 단 세 곳에 보안계 신설 하였으나 단속 역부족"

 

 

[웹이코노미=박지민 기자] 북한에서 생산된 스포츠웨어 등 물품이 중국산으로 둔갑해 국내에서 대량으로 유통되고 있지만 박근혜 정부 당시 해양경찰청이 해체된 이후 사실상 적발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4일 공개한 해양경찰청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해경이 해체된 이후 약 3년 동안 중국산으로 위조 돼 국내에 반입된 북한 물품에 대한 적발 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밝혀졌다.

 

 

 

김 의원은 "전년도 단속 실적들에 비춰 볼 때 단속이 중단된 약 3년 동안 북한에서 생산된 물품이 중국산으로 둔갑된 후 국내로 대량 유통 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에서 생산된 물품은 지난 2010년 5월 24일 조치 이후에 대북제제의 일환으로 시행되기 시작했다"며 "이후 매년 중국산을 가장해 북한물품을 국내에 유통시킨 유통업자들을 검거해왔던 해양경찰청은 지난 2014년 4월 16일을 기점으로 대부분의 인력을 세월호 수습을 위해 목포로 파견했다. 밀수업자와 원산지 위조 업자들을 단속·검거 해왔던 해양경찰청 보안계도 예외는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해양경찰청은 2010년부터 수년간 스포츠의류부터 돌조개, 대게, 무연탄, 태권도복 등 다양한 북한 생산 물품을 중국산 등으로 원산지를 위조해 국내에 유통시킨 유통업자들을 적발해 왔다"며 "적발된 품목들은 국내 홈쇼핑을 비롯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국내에 유통 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적발된 유통물량은 한화로 계산 시 수백억대에 달해 조직적 범죄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단속이 시급한 상황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2014년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 해에는 단속 실적이 1건으로 대부분의 해양경찰청 인력이 세월호 수습에 투입된데다 같은해 11월 박근혜 대통령의 해양경찰청 해체로 보안계 자체가 사라지면서 밀수업자 단속이 중지되면서 북한산 물품의 대량 유통되는 빌미를 제공했다는 게 김 의원의 설명이다.

 

 

 

이 같은 문제가 불거지자 해양경찰청 보안계(행정관1명, 경찰관 14명) 15명이 경찰청 보안국으로 발령이 났으나 기존 경찰청의 업무를 보완해주는 역할에 그쳤고 이에 2015년 국가정보원의 국민안전처 해양경찰 감사에서 북한으로부터의 귀순자, 표류자, 밀수업 등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단속 조직이 없음을 지적해 2016년 2월 인천서, 속초서, 동해서 3곳에 보안계를 신설했다. 그러나 단속 실적은 없는 상황이다. 사실상 3년 이상 밀수업자들에 대한 단속이 전무했다고 볼 수 있다는 것.

 

 

 

결국 지난 7월 26일 해양경찰청이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부활함에 따라 18개 해경서 중 보령, 부안, 창원 세 곳를 제외한 15개 해경서에 보안계가 신설됐으나 인력이 부족해 단속 실적을 내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김 의원은 “지난 수 년간 북한물품의 원산지 위조 적발 내역을 보면 조직적 범죄일 가능성이 높다.”며 “해경이 부활 하면서 보안계가 신설 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인원 부족으로 제대로 된 단속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밀수업자나 원산지 위조범들에 대한 강력한 단속과 더불어 근원적으로 차단 할 수 있는 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