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맑음동두천 19.8℃
  • 구름조금강릉 23.5℃
  • 맑음서울 22.8℃
  • 구름조금대전 19.1℃
  • 구름조금대구 18.9℃
  • 흐림울산 19.3℃
  • 구름조금광주 19.7℃
  • 부산 20.6℃
  • 맑음고창 18.1℃
  • 흐림제주 20.4℃
  • 구름조금강화 18.5℃
  • 구름조금보은 14.7℃
  • 맑음금산 17.1℃
  • 맑음강진군 18.4℃
  • 구름많음경주시 17.5℃
  • 흐림거제 19.0℃
기상청 제공

서울

오세훈 시장, 세계 3위 뷰티시장 일본에서 K-뷰티 유통망 확보 위해 `맞손`

SBA-이베이재팬(eBay Japan), 26일 K-뷰티 중소기업 온라인 입점 지원을 위한 협약 체결

 

(웹이코노미) 오세훈 서울시장이 국내 뷰티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 3대 화장품 시장으로 꼽히는 일본 유통업계와 협력에 나섰다. 일본의 젊은 20대 소비자 구매율이 높은 유통채널에서 서울 유망 중소기업 제품을 모아 ‘서울기획관’을 선보인다.


서울시는 26일 일본 오모테산도 뮤지엄에서 오세훈 시장, 김현우 서울경제진흥원 대표이사, 아라이 히데키 이베이재팬 본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 뷰티분야의 우수 중소기업 발굴, 육성 및 일본 온라인 판로개척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중소브랜드 육성을 총괄하고 있는 서울경제진흥원(SBA)과 이베이제팬(eBay Japan)이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베이재팬(큐텐)은 라쿠텐, 야후쇼핑과 함께 일본의 대표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중소 브랜드의 온라인 등용문이다. 특히, K-뷰티 카테고리는 매년 10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상당수의 한국 중소형 브랜드가 큐텐을 일본 진출의 첫 채널로 삼고 있다.


이번 협약은 K-콘텐츠의 인기에 따라 일본 현지에서 K-뷰티 또한 뜨거운 반응을 얻게 되면서 ‘한국’ 화장품이 일본 화장품 시장 내 전체 수입 순위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양 기관의 교류를 통해 서울 유망 중소기업들의 일본 수출 판로를 넓히고 업계 종사자 간의 협력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엔데믹 전환에 발맞춰 해외 시장 진출이 본격화 되고 있으나, 중소기업 자체적으로 진행하기에는 유무형 자산(거점, 네트워크)의 부족으로 해결이 어려운 애로사항이 많은 상황이다.


일본 화장품 수입액 3.1조 중 한국 비중은 23.4%, 약 7,254억 원 수준이다.


주요 협력 내용은 △서울 유망 중소기업 발굴 및 일본시장 판로 개척 지원 △서울 뷰티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온·오프라인 프로모션 기획 및 운영 등이다.


온라인 플랫폼 입점 절차 및 현지 시장정보 제공, 다양한 인증과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현지 진출의 문턱을 대폭 낮춘다.


또한, 서울의 유망중소 브랜드를 모아놓은 ‘서울기획관’ 페이지에서는 소비자를 사로잡는 트렌디한 서울의 대표 제품들을 한꺼번에 만나볼 수 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올해 하반기부터는 서울의 유망 중소기업 제품들이 일본의 주요 온라인 유통망에 보다 적극적으로 입점하여 일본 소비자 대상으로 세일즈를 펼치며, 매출성과를 토대로 향후 드럭스토어 등 오프라인 유통채널로도 확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업무협약에 이어 오 시장은 일본 현지 진출에 성공한 주요 뷰티기업 13개사와 함께하는 ‘K-뷰티 일본진출 성공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현지 뷰티 기업들의 일본 진출 성공사례와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오 시장에게 뷰티산업의 해외 진출과 성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요청했다.


금번 간담회에 참여한 메디쿼터스, 아이패밀리SC, 비모뉴먼트, 브이티지엠티, 포컴퍼니, 데이지크, 어뮤즈, 7개사의 ’22년 매출액은 약5,800억원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K-뷰티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서 라이프스타일 뷰티 브랜드 ‘달바’를 운영 중인 비모뉴먼트 반성연 대표는 “경쟁력을 갖춘 서울의 중소 뷰티기업으로서도 해외 진출에는 많은 비용과 장벽이 존재한다”며, “서울시 및 서울경제진흥원 등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마련하는 공공 측면에서 서울의 뷰티기업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정책 개발에 힘써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