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이코노미) 서울시는 오는 9월 정식운항을 앞둔 ‘한강버스’의 품질개선과 안전성 확인을 위해 6월부터 석 달간 ‘시민체험운항’을 실시한다고 16일 밝혔다.
‘한강버스’가 대중교통을 넘어 서울시민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서울의 글로벌 도시경쟁력을 높이는 핵심인프라로 추진되는 만큼 빈틈없는 준비와 점검으로 안전하고 신속한 운항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시민체험운항은 6월 2일부터 8월 24일까지 분야별 점검단을 구성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6월 첫 시민체험단은 선박‧교통공학 학계, 해양레저 종사자, 시‧산하기관 공무원 등 한강버스 운항과 기술적인 분야에 대해 제언할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또 장애인, 어르신, 임산부 등 교통약자들도 체험단에 참여해 승하선 동선 및 이동 불편,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블럭 등 보행안전과 편의도 확인한다.
7~8월에는 가장 많은 이용이 예상되는 선착장 주변 기업 직장인을 대상으로 출퇴근시간 체험운항이 이어진다. 출퇴근 대중교통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꼭 필요한 부분들을 확인하고 개선사항은 정식운항 전 최대한 반영한다.
이 외에도 주말 한강에서 레저를 즐기는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체험 운항도 진행해 관광인프라로서의 한강버스 장점도 확인한다.
또 이동 시간을 활용한 ‘책읽는 한강버스’, ‘출근길 조식챌린지’ 등 한강버스 탑승 경험을 확산하기 위한 다양한 이벤트도 마련된다.
서울시는 한강버스 이용 플랫폼이 될 선착장 조성과 접근성 개선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조성이 완료된 ‘잠실’과 ‘여의도’ 선착장은 5월 말 일부 편의시설 운영을 시작하며 8월 중 카페 등 입점이 완료된다. 마곡‧망원‧압구정‧옥수‧뚝섬 등 나머지 선착장 5곳은 이달 말까지 건축공사 마무리 후 6월부터 순차로 영업을 개시한다. 옥상공간은 팝업 행사와 전시, 공공예식장 운영 등 시민 중심 공간으로 운영된다.
또 선착장 접근성 개선을 위해 ‘마곡선착장’ 인근에 버스 노선을 신설(1개)했고, 망원‧압구정‧잠실 선착장은 각각 2개 버스 노선을 조정해 시민 불편을 줄였다.
서울시민은 물론 관광객들도 쉽고 편리하게 선착장을 찾을 수 있도록 6월 말까지 주변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접근로 등에 안내표지판, 노면 사인과 유도선 등을 설치한다.
한강버스가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잡도록 버스‧지하철과의 환승 체계도 손본다. 시는 지난 1월 인천·경기·코레일 등 관계기관과 협의 후, 시스템 개발에 착수해 5월 23일 완료할 예정이다. 테스트 후 환승 시스템은 다음 달 28일부터 정식 가동된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한강버스 정식운항을 위한 사전 인프라 구축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며 “전문가는 물론 시민, 관광객 등 다양한 탑승객을 중심으로 한 체험운항은 한강버스의 새로운 정체성과 신뢰 형성에 기여하고, 9월 정식운항 전 이용자 중심의 검증과정으로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