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맑음동두천 6.1℃
  • 구름조금강릉 8.4℃
  • 맑음서울 8.7℃
  • 맑음대전 8.4℃
  • 맑음대구 8.3℃
  • 맑음울산 6.9℃
  • 맑음광주 9.4℃
  • 맑음부산 8.3℃
  • 맑음고창 3.1℃
  • 맑음제주 9.6℃
  • 맑음강화 2.3℃
  • 맑음보은 4.5℃
  • 맑음금산 6.1℃
  • 맑음강진군 5.1℃
  • 맑음경주시 3.7℃
  • 맑음거제 6.5℃
기상청 제공

과기정통부,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 ‘23년도 연구개발에 전년 대비 +7.4% 증가한 56.8조 원 투자

전일 근무 연구개발 인력 6.9천명(+3.2%) 증가 및 기초연구 분야 연구개발비도 높은 증가율(+15.9%)

 

(웹이코노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월 31일에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의 2023년도 연구개발비 투자가 56.8조 원으로 전년보다 3.9조원(+7.4%), 전일 근무 연구인력은 22.07만명으로 6.9천명(+3.2%) 증가했으며, 특히 기초연구 분야에서 연구개발비 증가율(+15.9%)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23년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의 연구개발비 56.8조 원은 전체 기업들의 총 연구개발비 94.3조원의 60.2% 수준이며, 증가액 규모(3.9조원)도 전년 대비 +5.4% 증가했던 전체 기업들의 총 증가액 4.9조원의 80.1%에 달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24년도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진행한 연구개발활동 현황 조사에 참여한 대학·연구기관·기업 등 총 68,096개 기관 중에서 정보통신기술 기업(17,104개사)들의 응답 내용만을 별도로 분석해서 도출됐다.

 

‘23년에는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 기업 생산 및 정보통신가슐 수출 등이 모두 감소하는 어려운 여건이었지만 우리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인공지능과 차세대통신 등 첨단 핵심기술 등의 확보를 위해서 많이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업종 별로는 인공지능 일상화 본격 추진, 국산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개발 착수 및 6세대 이동통신 선행기술 확보 추진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보통신방송기기업 분야에서 가장 많은 51.8조 원(+3.7조원 증가, +7.6%)이 투자됐다.

 

연구단계 별로는 개발연구가 40.3조 원(+ 2.1조원 증가, +5.6%)으로 가장 많았지만, 인공지능 연산방식(AI 알고리즘), 차세대컴퓨팅 및 6새대 이동통신 등에서 핵심기술 개발 수요 등을 반영해 7.2조원(+1.0조원 증가, +15.9%)이 투자된 기초연구 분야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유형 별로는 대기업이 46조 원(+3.8조 원 증가, +9.1%)과 벤처기업이 5.2조 원(+0.3조 원 증가, +6.7%)으로 늘어났고, 중소기업은 약 2.3조 원(△0.3조 원 감소, △11%)으로 감소했는데 이는 통계 조사방식 변경에 따라 설문에 응답한 중소기업 수가 줄어들어‘23년도 조사에서만 일시적으로 나타난 결과로 파악된다.

 

‘23년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에서 전일 근무하는 연구개발 인력(상근상당인원 기준, 연구지원·행정지원 인원 포함)은 22.07만 명(+6.9천 명, +3.2%)으로 정보통신기술 기업까지 포함한 국내 전체 기업들의 연구개발 인력 45.94만 명(+2천명,+0.4%)의 48% 수준이며, 국내 기업 연구인력들의 증가도 대부분 정보통신기술 기업들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인력 중에서 연구원이 가장 많은 19.6만 명으로 전년보다 약 5천명(+2.6%), 연구보조 인력은 2.18만 명으로 약 2천명(+10.4%) 증가했고, 행정지원 인력은 2.9천명으로 160명(△5.3%)이 감소했다.

 

정보통신방송기기업의 연구개발 인력이 15.68만명으로 가장 많았고(+6.5천명, +4.3%), 그 다음으로는 소프트웨어개발·제작업 5.59만명(△9백명, △1.6%), 정보통신방송서비스업 7천명(△3백명, △4.1%)이었으며‘23년도 통계부터 새로 반영된 정보통신기반(인프라)서비스업은 1.1천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기업들이 ’23년에 새롭게 부각됐던 인공지능과 6세대 이동통신 분야 등 핵심기술 개발에 적극 투자함으로써 기술변화에 잘 대응하고 국가 디지털전환에도 기여했다”면서, “정부도 기업들이 직접 투자하기 어려운 분야에 대해서는 마중물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확보한 기술의 사업화도 강화하여 민관의 연구개발 투자효과가 증대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본 통계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2023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조사기관 : 68,096개) 결과 중 정보통신기술 기업(17,104개)에 관한 항목을 별도 분석한 것으로, 국가통계 누리집과 정보통신 통계포털에서 일반 국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