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21 (토)

  • 맑음동두천 -5.9℃
  • 맑음강릉 0.0℃
  • 맑음서울 -3.8℃
  • 맑음대전 -1.8℃
  • 맑음대구 -0.4℃
  • 맑음울산 0.2℃
  • 광주 1.1℃
  • 맑음부산 1.4℃
  • 흐림고창 1.9℃
  • 제주 5.6℃
  • 맑음강화 -4.2℃
  • 구름많음보은 -2.8℃
  • 맑음금산 -1.9℃
  • 흐림강진군 2.8℃
  • 맑음경주시 -0.1℃
  • 맑음거제 2.1℃
기상청 제공

경제정책·경제단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 작년 상반기 대비 0.3% 증가 그쳐"

경총, 「최근 소매판매 현황과 시사점」 발표
동기간 소매판매액(불변지수) 증가율(–2.4%)
2003년 이후로 가장 낮아,
고물가 장기화로 인한 소비 위축 때문으로 추정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가 발표한 「최근 소매판매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경상지수) 증가율은 작년 상반기 대비 0.3%에 그쳤다. 또한 소매판매의 실질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소매판매액(불변지수) 증가율은 -2.4%로 200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나타났다. 업태별로는,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가 면세점(13.6%), 무점포소매(7.7%)에서 크게 증가한 반면,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4.2%), 전문소매점(-3.1%)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 현황) 올해 상반기(1~6월 누계) 소매판매액(경상지수) 증가율은 작년 상반기 대비 0.3%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상반기 기준으로 지난 2021년과 2022년에 각각 8.1%, 7.1%씩 늘던 소매판매가 누적된 물가 상승으로 인해 2023년(2.2%)과 2024년(0.3%)에는 점차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소매판매 현황) 소매판매의 실질적인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소매판매액 불변지수는 올해 상반기 증가율이 –2.4%로 나타났다. 이는 카드 대란이 있었던 2003년(-2.4%)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소매판매액 불변지수 증가율이 음의 값인 것은 실질 소비의 양이 이전보다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이 역시 최근 몇 년간 누적된 전 세계적인 높은 물가 상승 같은 요인들로 인해 소비가 위축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품목별 소매판매 현황)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은 기타내구재(10.3%)와 가구(8.7%), 의약품(5.1%)이 높았고, 승용차(-8.1%)와 오락·취미·경기용품(-5.3%), 기타준내구재(-3.6%)가 낮게 나타나 품목별로 차이를 보였다.


(최근 5년간 품목별 소매판매 변화) 2019년 상반기 대비 2024년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 누적 증가율은 기타비내구재(45.2%), 의약품(42.4%), 승용차(31.4%)가 높았고 신발 및 가방(1.2%), 통신기기 및 컴퓨터(2.6%), 가전제품(3.0%)은 낮았다. 화장품은 –9.5%로 나타나,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도 부진한 것으로 분석됐다.

 

(업태별 소매판매 현황) 업태별로는, 면세점(13.6%)에서 올해 상반기 소매판매액지수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는 최근 면세점 이용객 증가에 따른 영향이 일부 반영됐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인터넷쇼핑 같은 무점포소매(7.7%)와 대형마트(5.2%) 역시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4.2%), 전문소매점(-3.1%), 슈퍼마켓 및 잡화점(-1.9%)은 작년 상반기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업태별 소매판매 변화) 2019년 상반기 대비 2024년 상반기 업태별 소매판매액지수 누적 증가율은 무점포소매(67.9%)를 비롯해 백화점(35.3%),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30.0%)이 높게 나타났다. 면세점은 올해 상반기 매출 증가세(13.6%)가 높았지만, 5년 전과 비교하면 오히려 3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무점포소매 판매 품목의 업태별 소매판매 현황) 올해 상반기 무점포소매로 판매되는 품목을 살펴본 결과, 총 9개의 품목 중 음식료품을 비롯한 5개 품목의 무점포소매 판매 증가율이 다른 업태들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총 이승용 경제분석팀장은 “최근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수출과 달리, 소비 같은 내수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우리 경제 회복을 제약하고 있어 우려스럽다”면서, “내수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와 지원책들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장기간 높은 수준에서 유지된 現 기준금리의 인하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