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LH, 최근 4년간 시공한 장기·공공임대아파트에서 하자 총4만2천여건 발생

민경욱 의원 "도배 불량 하자가 전체 중 31.2%인 1만3285건으로 가장 많아"

 

[웹이코노미=김필주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가 지은 임대아파트에서 매년 하자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이 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장기·공공임대아파트에서 발생한 하자는 총 4만255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임대아파트 세대수인 23만9206세대 중 18% 비중에 해당되는 수치로 임대아파트 5세대 중 1세대는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뜻한다.

 

하자 유형별로 보면 최근 4년간 도배 불량으로 인한 하자가 전체의 31.2%인 1만3285건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타일 불량이 전체의 24.4%인 1만375건, 오배수 등 9708건, 위생기구 불량 4517건 순으로 조사됐다.

 

주택 유형별로는 장기임대아파트에서는 전체 세대수의 7.3%인 8508건이, 공공임대아파트에서는 27.6%인 3만4042건의 하자가 발생했다.

 

민 의원은 “서민들이 거주하는 임대주택에서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면 보수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며 “LH는 임대아파트 건설시 하자가 많이 발생하는 도배·타일 등을 철저히 점검해 하자를 줄이고 하자보수에도 적극 나서서 서민들이 아파트 하자로 인해 고통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필주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