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김영섭 기자] 올해 하계휴가 일수는 기업규모별로 300인 이상은 ‘5일 이상’이라는 응답이 46.1%로 가장 높았고, 300인 미만은 ‘3일’이 4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는 전국 5인 이상 720개 기업(응답 기업 기준)을 대상으로 '2021년 하계휴가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1일 밝혔다.
올해 하계휴가 실시기업의 휴가 일수는 지난해(3.6일)와 거의 유사한 평균 3.7일로 집계되었다. 기업규모별로 300인 이상은 ‘5일 이상’이라는 응답이 46.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0인 미만은 ‘3일’이라는 응답이 49.7%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00인 이상은 ‘3일’이라는 응답이 23.7%로 나타났고, 300인 미만은 ‘5일 이상’이라는 응답이 26.7%로 나타났다.
하계휴가 실시기업의 하계휴가 실시 기간을 조사한 결과, 업종별로 제조업은 ‘단기간(약 1주일) 집중적으로 휴가 실시’가 69.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제조업은 ‘상대적으로 넓은 기간(1~2개월) 동안 휴가 실시’가 80.6%로 가장 높게 집계되었다. 하계휴가 실시기업 전체로는 ‘단기간(약 1주일)’이라는 응답이 58.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장기간(1~2개월)’이라는 응답은 34.1%로 조사되었다.
하계휴가 실시기업의 48.1%가 올해 하계휴가비를 지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해 2020년(49.1%)에 비해 1.0%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경기상황과 관련, 응답기업의 45.4%는 최근 경기가 ‘전년보다 악화됐다’고 답했다. 규모별로 ‘전년보다 악화됐다’라는 응답은 300인미만 기업(46.4%)이 300인이상 기업(38.1%)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전년보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300인이상 기업(21.4%)이 300인미만 기업(13.1%)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기회복 시점에 대해 응답 기업의 44.5%는 ‘2022년 상반기’에 경기가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국내 경기가 언제부터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인지에 대한 응답은 ‘2022년 상반기’(44.5%)가 가장 많았고, ‘2022년 하반기’(24.2%), ‘2021년 하반기’(14.1%), ‘2023년 이후’(11.6%), ‘2021년 상반기부터 회복 시작’(5.6%) 순으로 나타났다.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 시행 계획과 관련해선 응답 기업의 66.7%는 ‘올해 연차휴가 사용촉진제도(근로기준법 제61조)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제도 시행 기업 비중은 작년(60.4%)보다 6.3%p 늘어난 수치다. 올해 제도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주된 시행 이유로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 차원’(43.8%)을 가장 많이 답변했다.
김영섭 기자 kimlily@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