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우리나라 상속세 명목세율 최대 60%, OECD 최고 수준”

경총,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상속세제 개선방안' 발표

 

[웹이코노미 김영섭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가 2일 발표한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상속세제 개선방안 - 기업승계 시 Case Study 포함'에 따르면, 자녀에게 기업 상속 시 우리나라 상속세 명목 최고세율은 60%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제 후 실제 부담하는 상속세액도 분석대상 54개국 중 우리나라가 2번째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13개국 중 11개국은 상속세 제도를 시행했다가 폐지했고, 상속세가 애초에 없었던 국가도 2개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자녀에게 기업 상속 시, 최대주주 주식 할증평가(중소기업이 아닌 기업)까지 감안하면 명목 상속세율이 60%로 일본보다 높아 사실상 OECD 최고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상속세가 있는 OECD 23개국 중 17개국은 자녀에게 상속할 때 세율을 낮게 차등 적용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여줌으로써 원활한 기업승계를 지원하고 있는 것과는 상반되는 모습이다.

 

우리나라는 가업상속공제 대상이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일부로 한정되어 있고, 공제 요건도 외국보다 까다로워 실제 현장에서 활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승계 Case Study를 통한 상속세 부담 국제비교는 'KPMG International, Global family business tax monitor(2020.10)' 분석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고 경총은 설명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실제 부담하는 상속세액은 우리나라가 4053만유로(실효세율 40.5%)로 분석대상 54개국 중 미국(실효세율 최대 44.9%)에 이어 2번째로 부담세액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가업상속공제 제도의 복잡한 요건을 모두 만족(KPMG 가정 기준)하는 중소기업을 가정한 것이다. 대기업은 이러한 공제가 적용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유일하게 일률적인 최대주주 주식 할증평가(20%)까지 있어(중소기업을 가정한 동 Case Study에는 미반영), 대기업의 경우 우리나라 상속세 실효세율은 훨씬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부담하는 증여세액은 우리나라가 4,564만유로(실효세율 45.6%)로 분석대상 54개국 중 부담세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실제 부담하는 상속세액은 0원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이는 우리나라 가업상속공제 제도의 복잡한 요건을 대부분 만족하는 중소기업을 가정하여 산출한 세액으로 현실적으로 이같은 경우는 흔치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상속세 명목세율뿐 아니라 공제 후 실 상속세액도 우리나라가 세계 최상위권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높은 상속세율과 더불어 자녀 상속 시 세율인하와 같은 기업승계 지원제도가 외국에 비해 현저히 불리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우리 기업의 영속성 확보와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라도 상속세 최고세율을 OECD 평균인 25% 수준으로 인하하고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적용되는 일률적인 최대주주 주식 할증평가를 폐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2019년 세법 개정으로 가업상속공제 요건이 다소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사전․사후 요건이 해외 국가에 비해 까다로워 실제 현장에서 활용하는 데 애로사항이 많다”고 지적하며, “가업상속공제 제도 활성화를 위해 추가적인 요건 완화와 대상 확대가 필요하고, 상속세 과세방식도 유산세 방식에서 유산취득세로 전환하는 등 전반적인 상속세제 개선을 통해 우리 기업과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영섭 기자 kimlily@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