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부부처·공공기관

노인 등 정보취약계층 디지털 정보화 수준 ‘69.9%’… 작년보다 상승

과기부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노력"

 

[웹이코노미=김소미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전국 17개 광역시·도 15,000명을 대상)에서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69.9%로 전년대비 1% 포인트 향상했다고 밝혔다.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은 91.7%, 역량은 60.2%, 활용은 68.8% 수준으로 매년 향상되고 있는 추세다. 취약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100%) 대비 저소득층이 87.8%, 장애인이 75.2% 농어민이 70.6%, 고령층이 64.3%로 나타났다.

 

▲디지털 접근 수준은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 보유, 인터넷 접근 가능 정도 ▲디지털 역량 수준은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인터넷의 기본적인 이용 능력 ▲디지털 활용 수준은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인터넷의 양적·질적 활용정도를 말한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은 “정보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지만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과 키오스크 같은 무인 시스템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덧붙여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정보 취약계층이 배제되거나 소외되지 않도록 디지털 이용역량 강화와 차별 없는 디지털 환경 조성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소미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