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30.6℃
  • 맑음강릉 28.4℃
  • 구름조금서울 31.2℃
  • 맑음대전 29.9℃
  • 구름조금대구 30.7℃
  • 구름많음울산 26.6℃
  • 구름조금광주 29.8℃
  • 흐림부산 25.8℃
  • 맑음고창 28.6℃
  • 구름많음제주 25.8℃
  • 맑음강화 27.0℃
  • 맑음보은 28.9℃
  • 맑음금산 29.2℃
  • 구름많음강진군 28.4℃
  • 구름많음경주시 28.2℃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대전

이장우 대전시장 , 삶의 질 높이는 교통·관광·복지 등 성장개발 강조

연계 철도망 구축, 로컬 헤리티지 관광자원화,선제적 안전 대응 등 주문

 

(웹이코노미) 이장우 대전시장은 27일 주재한 주간업무회의에서 교통망 구축· 관광자원개발·적시 복지 실현·안전 리스크 상시화를 통한‘도시 성장론’에 방점을 찍었다.

 

충청권 수부인 대전 중심의 인근 도시 간‘연계 철도망 구축’, 옛 건축물의 스토리텔링을 통한‘로컬 헤리티지 관광자원화’,‘선제적 안전 대응’등의 강력한 메시지를 던졌다.

 

이 시장은 교통과 관련해“길이 열리면 문명이 바뀐다. 수부인 대전을 중심으로 충청권 전체 도시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교통망을 설계해야 한다”며“대전 도시철도가 5호선까지 건설되는 데는 공주·계룡·논산·세종·옥천·금산 등 인근 도시와의 연계성이 다 고려돼야 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청주국제공항의 명칭과 충청권 공항으로서의 공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시장은 “청주국제공항에 괄호로 대전을 넣든지 청주·세종·대전공항을 하시면 어떻겠냐고 제안도 하고 있다”며 “청주공항은 충청권 국제공항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현재 청주공항의 가장 큰 문제는 활주로가 짧아 대형 기종이 뜨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라며 “대전 시민도 이용하는 공항인 만큼 대형 기종이 미주나 유럽노선으로 갈 수 있도록 활주로 확장 및 증설을 충북도와 공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전천 좌안 현암교~대전선(철도) 도로 확장’과‘타슈 원도심 활성화 계획’도 거론하면서 도로·철도·하늘길·PM(개인형 이동장치)까지 모든 교통 수단을 총망라해 세부 지침을 내렸다.

 

주요 복지 정책인‘청년부부 결혼장려금’에 대해서도 “적재·적소·적시 복지실현이 중요하다”며 “신속한 지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대처하라”고 말했다.

 

관광자원 개발과 관련해서는‘근현대 문화유산을 주축으로 새 역사문화예술 관광벨트 구축’을 지시했다.

 

이 시장은 “옛 대전부청사와 옛 충남도청사, 헤레디움, 테미오래 관사촌 등을 체계적으로 상품화할 수 있도록 하라”며 “이어지는 중간 지점에 작은 공연이나, 지역 우수기업 상품관 등을 만들 수 있는 콘텐츠 등도 고민해 보라”고 했다.

 

또‘대전 3대 하천의 대규모 단일꽃밭 조성’과‘한밭수목원 황톳길 조성’을 주문했다.

 

이 시장은“3대 하천을 보면 유채꽃이나 금계국 등이 조금씩 심어져 있는데, 그러지 말고 3대 하천이 단일품종으로 전체를 물들일 수 있도록 하라”며 “예를 들어 100만 평 규모가 전부 코스모스로 물든 것과 각 하천마다 조금씩 다른 꽃들이 있는 것은 상품화나 축제에 있어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한밭수목원 황톳길 조성’에 대해서도 “강변쪽 경계선에 황톳길을 만들려면 일부 흙을 파내야 하고, 발 닦는 곳과 에어건 등을 설치해야 한다”며 “이런 부분들을 고려해 예산을 세워 이르면 내년 봄부터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라”고 했다.

 

시민 안전과 관련해서는 식중독 대비 현장 대응 강화와 폭염·폭우 대비 총력 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한국외식업중앙회를 비롯한 건설 관련 협회 등의 공공기관 이전 적극 추진, 0시 축제 관련 카이스트 협조 통한 로봇·인공위성 등 전시 및 안전대책 홍보, 대전투자금융 설립 위한 적극 실무협의 등을 지시하면서‘일류경제도시 대전’을 향한 의지를 다졌다.

 

이 시장은 여론조사기관인 리얼미터가 올해 1월 26일~29일, 2월 26일~29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1만 3,6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 광역자치단체장 평가에서‘전국 주민생활 만족도 지수 1위’에 오른 만큼 더욱 시민 의견을 경청하고 반영해‘신뢰받는 시정’을 펼쳐나가겠다는 각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