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우리는 여러 이유로 동사무소나 주민자치센터, 구청 등 각종 공공기관을 찾는다. 이 때마다 민원 서식의 어려운 용어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런 공문서를 포함한 공공언어는 '공공기관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사)국어문화원연합회 발표 자료에 따르면 어려운 공공언어로 인해 우리 국민이 치러야 하는 '시간 비용'을 계산해 봤더니 2021년 기준 연간 1952억원이란 조사결과가 나왔다. 이는 2010년 연간 170억원에 비해 무려 11.5배 늘어난 것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웹이코노미는 '공공언어 바로 쓰기'를 주제로 시리즈 특집기사를 기획, 정부의 쉬운 우리말 쓰기 캠페인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국립한글박물관, 김해한글박물관, 우리한글박물관, 늘빛한글문자조형박물관. 이른바, 한글박물관 전성시대를 맞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립한글박물관은 홈페이지에서 한글박물관의 목표에 대해 "한글자료가 축적되고 전승되는 장, 한글에 대한 체험적 이해와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 한글문화가 재창조되고 확산되는 장"이라고 소개한다. 임무에 대해선 "한글과 한글 문화 가치의 보존, 확산, 재창조"라고 밝힌다.
김해한글박물관은 전국 최초의 공립한글박물관으로서 존재 의의를 높인다. 김해한글박물관의 게시판을 보면 가장 최신으로 오라온 게 <탄소 ZERO 지구 UP>이라는 소꿉전시회 소개 자료다. 이는 11월 소꿉전시회로 탄소중립을 주제로 한 작품을 전시된다고 설명한다. 전시를 하는 주인공은 김해어린이집의 '아기자기님'들이라고 소개한다. 이렇든 김해한글박물관은 '우리 곁의'의 박물관을 지향한다. 조광제 관장도 "김해한글박물관에서는 시민이 직접 참여하는 전시(틈새전시, 소꿉전시회)와 설레는 마음으로 박물관으로 소풍 올 수 있는 행사를 기획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충북 충주시에 위치한 우리한글박물관은 '한글생활사'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는 데 특장점을 갖는다. 김상석 관장은 홈페이지 인사말에서 "30여 년 전부터 모으기 시작한 한글생활사 자료를 사이버에서 선보이게 됐다"며 "그 동안 모은 자료의 양은 대략 1,500여 점이 된다"고 말한다. 전시품 중에는 궁중에서 사용한 자료도 있지만 대부분 일상 생활에서 직접 사용한 자료들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방각본을 비롯해 문서, 목판본, 옹기와 도자기류 나아가 장기, 부적판 등 민속자료까지 포함한 것들이 해당된다고 한다. 2009년에 문을 연 우리한글박물관은 2013년 ‘한글 음식 방문전’ 특별전을 시작으로 2014년 특별전 ‘한글 고소설젼, 충주에서 만나다’, 2015년 특별전 ‘해주도자기, 한글을 노래하다’ 등 꾸준히 매년 특별전을 개최하고 있다.
충남 예산군에 있는 늘빛한글문자조형박물관은 충남도청 공식블로그가 도민리포터를 활용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블로그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심응섭 관장이 예산군 삽교읍 수암산 자락에 자신의 아호를 딴 늘빛 한글문자조형박물관을 개관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글을 작성한 도민리포터는 "한글을 아름다운 서체로 변환시켜 고운 세상을 만들어내는 모습이 참 보기 좋고 예술적인 가치가 높다"고 평가한다. 박물관 외부에는 돌에 새겨진 심응섭 교수의 작품이 가득하다. 박물관 내부엔 한글 조형 서예작품들이 전시돼 있다. 도민리포터는 "심응섭 작가는 붓과 먹을 사용해 단순한 한글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켜 한글의 멋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한글사랑의 힘과 노력으로 만들어진 늘빛한글조형박물관은 우리 한글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직접 느낄 수 있는 곳"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