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경제정책·경제단체

경총,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발표

지금 청년들은 경직적 노동시장 구조, 고학력화·임금격차로 인한 인력수급 미스매치,
산업 수요를 따라오지 못하는 대학교육, 고용창출력 저하로 벼랑 끝에 내몰려
법·제도개선(노동시장 경직성 완화, 규제혁신),
노동시장 구조개혁(임금격차 완화, 대학교육 개혁·직업훈련체계 정비),
사회적 인식개선(경쟁력 있는 중소·중견기업 인식 제고)


[웹이코노미 김민서 기자]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는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벼랑 끝에 선 청년에게 희망을'이라는 보고서를 2월 16일 발표했다. 

 

경총은 보고서에서 “청년고용이 부진한 원인은 경직적인 노동시장 구조, 노동시장 미스매치(고학력화·임금격차 등으로 인력수급 불일치, 산업 수요를 따라오지 못하는 대학교육), 우리 경제의 고용창출력 저하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 (경직적 노동시장 구조) 경직적 노동시장 구조와 연공형 임금체계는 노동시장에 들어오려는 청년층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경직적 고용규제와 강성노조의 과도한 요구로 대기업·정규직이 높은 임금*과 고용 안정을 누리면서 청년층은 노동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공형 임금체계가 지배적이고 임금연공성도 경쟁국보다 높은 상황*에서 정년 60세 의무화까지 시행되면서 청년고용 부진이 심화되었다.

 

■ (고학력화, 임금격차 등으로 인력 수요-공급 미스매치) 지나치게 높은 대기업 대졸초임으로 고학력 청년층의 대기업·공기업 쏠림 현상은 더욱 커진 반면, 중소기업은 만성적 인력 부족 현상을 겪는 인력 수요-공급 미스매치가 심화되고 있다.

 

국내 대규모 사업장의 대졸초임은 중소규모 사업장보다 2배가량 높고, 일본의 대기업보다 60%*가량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0년 이후 고등학교 졸업생의 약 70%나 대학에 갈 정도로 고학력화된 청년층은 고임금을 기대하면서 대기업·공기업 취업에 매달리고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근로조건이 취약한 중소기업은 인력부족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 (산업 수요를 따라오지 못하는 대학교육) 경제환경 변화, 산업 수요와 괴리된 대학교육으로 청년층은 학력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직무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AI·빅데이터 등 최첨단 산업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지만, 우리 대학은 관련 학과 정원조차 늘리지 못하며 변화속도를 못 따라가고 있다.

 

우리나라 전공-직업 미스매치는 50%에 달해 주요 경쟁국인 독일, 미국, 일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의 급격한 양적 팽창과정에서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충분히 제고하지 못해 ’교육거품‘이 발생한 것에 기인한다.

 

■  (우리 경제의 고용창출력 저하) 저성장 기조가 굳어지는 상황에서 글로벌 스탠다드를 넘어서는 과도한 규제와 예측 불가능한 규제가 신설·강화되어 우리 경제의 전반적인 고용창출력이 저하되면서 청년고용 부진이 심화되고 있다.

 

경총 임영태 고용정책팀장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법·제도개선, 노동시장 구조개혁, 사회적 인식개선이 시급하다”며, 우선 “노동시장 경직성을 완화해 청년층의 손쉬운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고, 규제혁신으로 고용창출력을 회복하고 청년의 창업·창직을 지원하기 위한 법·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임금격차를 완화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산업 수요를 반영한 대학교육·훈련체계 정비와 직업정보시스템 강화로 인력수급 미스매치를 풀기 위한 노동시장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경쟁력 있는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사회적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