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장 어두운 곳에서 한 줄기 빛이 더 잘 보이는 만큼, KOTRA 수출투자 비상대책반은 우리 기업들이 수출투자 불확실성을 헤쳐 나가는 데 필요한 빛을 밝히는 등대 역할을 해야 합니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지난 18일 염곡동 본사에서 개최된 제5차 수출투자비상대책반(이하 비상대책반)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KOTRA는 지난 비상대책반을 1월 발족 이후 약 한달간 △현장 애로 해소, △사업 및 예산 조기 집행 △대미 통상 환경 대응과 글로벌 공급망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총력 지원 중이다. 정부에서 발표한 2월 범부처 수출비상대책에 발맞춰 통상환경 대응에 전사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1,673건 상담, 649건 애로해소.... 美 신정부 출범 전후 대체시장 발굴, 관세 동향 문의 활발
KOTRA는 1월부터 2월 18일까지 1,673건의 상담을 진행하였고, 이와 별도로 649건의 애로를 해소했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대체시장 발굴, △관세 동향 문의, △해외 생산거점 이전 관련 상담이 늘어나는 추세다.
(? 대체시장 발굴) 우선 동남아, 중동, 인도 등 글로벌 사우스 지역 바이어 발굴 문의가 한 달 새 270건 이상 접수되는 등 대체시장 개척 문의가 활발하다. 중앙아시아에 대한 관심과 자동차부품·철강 기업의 인도 투자진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 관세 동향) 한편, 올해 1~2월 접수된 미국, 중국 등 주요국 관세 상담은 172건으로 전년 동기 91건 대비 89% 증가했다. (? 생산거점 이전) 최근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에 따라 기존의 생산 거점을 타국으로 이전하려는 중소중견기업의 문의가 이어지면서, 투자 진출 상담건수도 전년 대비 30% 늘어났다. 국내복귀를 희망하는 기업의 상담도 12건으로 전년 동기 8건 대비 증가했으며, 자동차부품 분야 중국 진출기업의 문의가 주를 이뤘다.
이에, KOTRA는 원스톱 상담지원 창구인 ‘관세 대응 119’를 신설했다. KOTRA 대표전화 또는 홈페이지 배너를 통해 비즈니스 애로 실시간 상담이 가능하다.
또한, 2월 5일부로 멕시코·캐나다 등 북중미와 중국·동남아 지역 진출기업의 지원을 위해 주요 해외무역관 20개소에 헬프데스크를 설치했다. 관세, 법률, 회계, 물류 등 컨설팅과 대체시장 발굴, 국내복귀를 지원한다.
국가 대외신인도 제고 및 안정적 투자환경 홍보를 위해 외투기업과 총 368건의 상담도 진행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여 반도체, 이차전지 등 국가핵심전략기술 분야의 외투기업 애로를 해소하는 한편,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큰 글로벌지역본부와 R&D센터 유치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첨단산업 분야의 FDI 유치를 위해 정부가 현금지원한도를 상향함에 따라 282억원의 투자 인센티브를 집행하는 등, 견조한 투자 흐름을 이어가고자 노력 중이다.
대미 통상 대응 및 글로벌 공급망 동향 모니터링... 경제안보 강화 노력
KOTRA는 미국 신정부 출범 이후 ‘미 신정부 통상현안 태스크포스’를 운영하며, 관세 등 미국의 통상조치 내용을 파악하여 우리기업과 유관기관들에게 신속하게 전파하고 있다. 특히 워싱턴 D.C., 브뤼셀, 베이징, 도쿄 등 주요 거점을 풀가동하여 우리 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들을 집중 모니터링했다. 2월 18일 기준 총 51건의 통상 보고서를 발간하며 대미 통상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품목별 관세, 상호 관세 등 미국 정부의 대외 통상정책이 산업별로 구체화 되어감에 따라 우리 업계도 산업·품목별 대응방안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KOTRA 비상대책반은 이에 발맞춰 3월 주요 업종별로 미국 관세 정책 모니터링 동향을 전파하는 등 직접 찾아가는 ‘업종별 미국 관세 대응 릴레이 설명회’를 개최한다. 오는 4월에는 「글로벌 신통상포럼」을 개최, 워싱턴D.C. 현지 연사를 초청하여 미국인의 시각에서 우리 기업에 시사점을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주요국의 공급망 동향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해외 전문기관과 협력하여 현지 정부 정책 정보를 수집했다. 이를 바탕으로 2월 4일 중국 상무부의 텅스텐, 몰리브덴 등 이중용도 수출통제 발표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핵심 품목의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일조했다.
지난 주에는 공급망 지원정책 및 프로그램 가이드북, 중국 수출관리제도 안내자료를 전파하였고, 기업이 공급망 현안대응에 활용할 수 있는 ‘공급망 컨틴전시 플랜’ 수립 가이드라인도 전파 계획이다. 이러한 정보는 해외경제정보드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보호무역 기조 강화 등으로 교역 여건이 어려워진 가운데 ‘25년 수출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 2025년 상반기는 수출 상승 모멘텀을 지키기 위해 중요한 시점인 만큼, KOTRA는 기업 지원을 더욱 강화하고, 신속한 통상환경 대응을 통해 수출 플러스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KOTRA는 엄중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 경제 안보를 지킨다는 목표 하에, 한시도 긴장감을 늦추지 않는 수출투자 비상대책 체제로 총력 대응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부 및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하여 민생경제 회복과 수출투자 활성화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