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채혜린 기자] 서울시가 지난 24일 전국 최초로 ‘공공보건의료재단’을 출범시켰다. 13개 시립병원과 25개 보건소를 총괄하고 보건의료정책 연구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재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13개 시립병원은 연간 5700억(1200억 원 보조금)원 예산으로 인프라를 확충했으나 재정자립도는 평균 66.3%(전체 공공병원 평균 80%)이고 시민 만족도가 낮은 실정”이라면서 “시는 ‘시민건강국’ 출범 이후 메르스 극복 후속 대책, 환자안심병원 등 보건의료정책을 선도해 왔으나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라 의료서비스를 치료 중심에서 예방적 건강관리체계로 전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시립병원(13개), 보건소(25개) 등 보건인프라 운영에 전문성을 확보해 시민 체감도를 높이려고 한다”고 관계자는 덧붙였다. 우선 정책 씽크탱크로 서울시 보건의료 빅 데이터를 구축, 정책개발에 힘쓴다. 시민 의료이용 데이터, 시립병원·보건소 통계 등을 분석해 계층 간, 지역 간, 건강격차를 분석하고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특히 시는 재단을 통해 그 동안 시립병원의 일괄적 관리운영을 혁신, 병원별 특성과 성과목표에 맞춘 상시
[웹이코노미= 채혜린 기자] 지난 2011년부터 올해까지 7년간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 브루셀라, 소결핵병 등 주요 가축전염병 발생으로 살처분한 가축수가 총 7천 472만 6629 마리에 달하며 이러한 가축전염병 발생을 사전 예방하는데 실패함에 따라 수조원대 혈세가 사실상 낭비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안산 상록을)은 11일 정부가 농가에 지급한 보상금 액수만 따져도 국비기준으로 2조 1971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국비 외에 가축전염병 발생으로 지방비로 지급한 보상금도 2015년부터 올해까지 3년 동안만 해도 926억 6400만원에 달했다. 김 의원은 “정부의 가축전염병 사전예방과 초동 방역실패로 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국비와 지방비로 지출한 보상금 이외에도 가축전염병 발생에 따른 긴급 방역관리비를 2010년 이후에만 총 10 51억 4800만원을 지출했다. 김 의원은 “2014년 이후에만 전국적으로 가축 살처분지 조성지가 1250개에 달하고 이들 전염병에 걸린 가축에 대한 처분비용과 인건비, 매몰지 조성, 관리비 등을 포함하면 최근 7∼8년 동안에만 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