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문화체육관광부는 3월 6일부터 4월 24일까지 매주 목요일마다 모두미술공간 세미나실*에서 ‘오후 3시의 예술정책 이야기’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문체부가 추진하고 있는 예술정책을 주제별로 깊이 있게 소개하고, 예술계 현장 의견을 폭넓게 수렴할 예정이다. 유인촌 장관은 첫 간담회(3. 6.) 현장을 찾아가 ‘예술인공제회 설립·운영 방안’ 등에 대해 참가자들과 논의할 예정이다. 3월 6일 예술인 중심 자립형 복지 활성화 방안부터 논의, 3월 4일부터 참가 신청 접수 먼저 3월 6일에는 예술인공제회 설립을 중심으로 예술인 중심 자립형 복지 활성화 방안을 논의한다. 이후에는 ▴서울 도심 공연예술벨트 조성, ▴공공미술은행 설치, ▴예술 분야 지원체계 개선방안, ▴인공지능(AI) 시대의 예술을 비롯해 법정계획으로 수립하고 있는 ▴공연예술진흥 기본계획, ▴미술진흥 기본계획, ▴국악진흥 기본계획 등에 대해서도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한다. ‘오후 3시의 예술정책 이야기’는 3월 6일을 시작으로 약 두 달간 매주 1회,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열릴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3월 4일(화)부
KOTRA(사장 강경성)는 세계적인 마케팅 및 홍보 전문기관인 미국 커뮤니케이션 연맹(LACP, League of American Communications Professionals)이 주관하는 ‘2023/24 LACP 비전 어워드(Vision Awards)’에서 △공공(Government), △수송&물류(Transportation & Logistics) 두 부문 대상(Platinum)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LACP 비전 어워드는 전 세계 기업과 단체가 발간한 연차보고서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평가해 시상하는 글로벌 경연대회로, 매년 국내외 1,000여 개 기업이 참가한다. KOTRA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전체 8개 평가 항목 중 7개 항목에서 만점을 받으면서 총점 99점(100점 만점)으로 ‘공공’과 ‘수송&물류’ 부문에서 최고 등급인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전 세계 수상작 중 상위 100대 기업의 보고서를 선정하는 ’월드 와이드 탑 100(World Wide TOP 100)’ 부문에서 국내기업 중 가장 높은 ‘7위’에 오르는 쾌거를 달성했다. KOTRA는 대내외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2012년부터 꾸준히 지속가능경영보고
현대차가 고성능 브랜드 ‘N’의 출범 10주년을 맞아 다양한 고객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 2015년 9월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고성능 브랜드 ‘N’을 최초 공개했으며, 아반떼 N과 아이오닉 5 N을 출시하는 등 10년간 고성능차 대중화를 위해 노력해왔다. 이번 ‘N’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현대차는 지난 1일(토)부터 4월 30일(수)까지 아반떼 N, 아이오닉 5 N을 출고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2025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5명) ▲HMG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센터(80명)에 초청한다. 선정된 고객은 독일 뉘르부르크링(Nürburgring)에서 열리는 ‘2025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를 현장 관람하거나 충남 태안에 있는 HMG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센터에서 N 차량을 트랙에서 주행할 수 있다. N 차량의 우수한 내구성과 주행성능을 고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다. 현대차는 3월 30일(일)까지 전국 드라이빙 라운지 10곳에서 N 차량을 시승할 수 있는 ‘투게더 시승 이벤트’도 운영한다.
기아 인도권역본부가 세계적인 조직문화 평가 기관 ‘Great Place To Work(이하 GPTW)’로부터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GPTW는 매년 170개국에서 3만여 개 기업의 조직문화를 평가하는 미국의 세계적인 평가기관이다. 특히 ‘일하기 좋은 기업’ 인증은 임직원의 실시간 설문 응답을 통해 이뤄진다는 점에서 수많은 기업들이 우수한 평가를 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아 인도권역본부는 신청 첫해에 곧바로 ‘일하기 좋은 기업’이 됐으며, 이는 인도 내 20곳 이상의 완성차 기업 중 세 번째다. GPTW 인도 아눕 시퀘이라(Anoop Sequeira) 디렉터는 “‘일하기 좋은 기업’에 도전한 첫 해에 인증을 받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중소기업협동조합의 공동사업 활성화를 위한 2025년 ‘공동사업개발 전문컨설팅’ 지원사업에 참여할 협동조합을 3.4(화)부터 3.31(월)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의해 설립된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공동사업 발굴, 활성화 과정에 대한 컨설팅 비용을 최대 15백만원(조합부담금 10% 별도)까지 지원한다. 금년도 사업은 ‘공동사업’분야와 ‘R&D과제기획’분야로 나뉘어 추진된다. 공동사업개발 전문컨설팅 지원을 희망하는 협동조합은 컨설팅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한 후 사업수행계획서를 작성하여 오는 3.31(월)까지 중소기업중앙회 협업사업실로 신청하면 된다. 현준 중기중앙회 협업사업실장은 “전문컨설팅 사업에 참여한 한국시계산업협동조합의 경우 시계전문 국가공인시험기관(KOLAS) 운영하며 시계시험수요를 시계업계와 공공기관을 넘어 일반 소비자까지 확대함으로써 시험원 활용도를 높이고 수익구조도 개선하는 아이디어를 얻고 있다”며, “이번 컨설팅 지원을 통해 협동조합의 경쟁력과 활성화를 제고시킬 수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중소기업협동조합 공동사업개발 전문컨설팅 지원사업에 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KOTRA(사장 강경성)는 정부에서 발표한 2월 범부처 수출비상대책에 따라 수출 유망국 여섯 나라의 수출 기회를 정리한 ‘2025년 주목해야 할 진출 유망국 6’ 보고서를 발간했다. 미국 신정부가 연이어 관세 정책을 발표하고, 주요 경제권은 이에 대응을 모색하는 등 기존의 무역 질서가 재편되는 상황이다. KOTRA는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 글로벌 사우스의 선도국가는 물론, 성장이 정체된 선진국에서도 한국이 공략할 수 있는 시장을 찾아 그 진출전략을 보고서에 담았다. 글로벌 제조의 중심으로 도약하는 인도, 인프라 확대 수요 뚜렷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사우스 대표국 인도의 대규모 인프라 개발은 확실한 시장 성장과 기회를 대변한다. 인도 정부는 ‘인프라 부흥 계획(PM Gati Shakti Master Plan, ’21.8. 발표)’을 중심으로 약 100조 루피(한화 약 1,658조 원)를 투자하여 △도시 인프라(상/하수도 및 폐기물 처리), △도로 연결, △공항 건설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추진 중이다. 우리 기업은 건설장비, 전력 기자재 수요에 집중하여 현지 진출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AI의 시대, 아시아태
국내 연구진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에 참가해 차세대 6G, 위성통신, 국방 5G 네트워크 등 최신 연구성과를 공개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오는 3일부터 나흘간 개최되는 MWC 2025 전시회에 최신 연구성과를 전시해 우리나라의 최첨단 네트워크 기술을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연구기관 및 기업과 협력을 확대하며 디지털 혁신 선도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ETRI는 이번 전시에서 ▲차세대 6G 이동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 ▲위성 IoT-NTN(비지상망) 기술 ▲국방을 위한 5G 네트워크 신뢰 연동 기술을 공개하며, 글로벌 ICT 무대에서 대한민국의 기술력을 입증할 예정이다. 6G 기술 – 초연결·초고속·초저지연 시대를 앞당긴다 ETRI는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차세대 6G 이동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6G 기술은 기존 5G 대비 10배 이상의 빠른 속도를 제공하며, 5G 무선구간의 저지연 한계를 뛰어넘어서 인터넷 규모 광역망에서도 원격의 고속·실감형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AI/ML 및 SW기반 네트워크 패러다임 변화를 통해 통신서비스의 지능화·최적화를
기아가 충전 사업자 ‘채비’와 2월 27일 업무 협약을 맺고 법인 전기차(이하 EV)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법인 전용 충전 솔루션 ‘기아 e-라이프 패키지 Biz’를 출시한다고 28일(금) 밝혔다. 기아는 27일(목) Kia 360(서울 압구정 소재)에서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정원정 부사장, 채비 최영훈 대표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법인 EV 고객의 원활한 비즈니스 수행을 위한 충전 환경 조성에 상호 협력하기로 하고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앞으로 기아 EV를 구매하는 법인 고객은 ‘기아 e-라이프 패키지 Biz’ 프로그램을 이용해 채비의 충전 컨설팅을 받을 수 있으며, 법인 고객의 충전 환경과 차량 운행 특성에 최적화된 충전 인프라 설치, 충전요금 할인 및 이력관리, 특화 케어 3가지 영역에서 법인 전용 충전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먼저, ‘충전 인프라 설치’는 채비가 보유한 7kW 완속충전부터 200kW 급속충전까지 다양한 출력의 충전기 라인업을 기반으로 차고지 및 임직원 주거지에 충전기 설치 및 운영 서비스를 제공한다. 고객의 니즈에 맞게 무상 설치, 직접 구매, 리스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담 컨설턴트가 현장 실사부터
기술보증기금(이사장 김종호, 이하 ‘기보’)은 디지털 기반 감사업무 혁신의 성과로 자체 개발한 ‘AI-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감사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28일(금) 밝혔다. 기보는 내부 감사의 전문성과 표준화를 확보하기 위해 AI·빅데이터 등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기보型 디지털 감사 프레임워크(KIBO-Digital Audit Framework, 이하 ‘K-DAF’)’를 감사플랫폼에 도입했다. 이번에 특허 출원한 K-DAF는 감사계획부터 최종 감사 양정 단계까지 표준화된 감사 툴을 적용해 감사 행정업무를 줄이고, 감사 전문성을 한층 강화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AI 모델을 활용한 양정 예측과 유사 처분서 제공 기능을 갖춘 ‘AI 양정 어드바이저’를 적용해 감사 결과의 예측 정확도를 100%까지 높였다. 이를 통해 감사처분의 객관성이 강화되고, 피감사인의 수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기보는 앞으로도 급변하는 IT·정보시스템 환경에 맞춰 감사시스템 고도화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내부통제체계를 강화해 감사 업무의 신뢰도를 높이고, 외부 환경 변화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임명배 기보 감사는 “기보는 디지털 기반의 차별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정희권, 이하 ‘특구재단’)과 한국발명진흥회(상근부회장 김시형, 이하 ‘발명진흥회’)는 2월 28일(금), 서울 발명진흥회 본사에서 연구개발특구 내 딥테크 기업 대상 지식재산(IP)금융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본 협약은 양 기관이 협력하여 딥테크‧전략기술 분야에서 원천/핵심 특허를 보유한 기업을 발굴하고, 기업 성장과 IP금융 활성화를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며, ▲ IP금융 활성화 및 생태계 조성 ▲ IP가치 평가 지원 ▲ IP투자 유치 지원 ▲ IP창출, 보호, 활용 ▲ 우수 IP 이전거래 및 사업화 지원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IP 기반 기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활성화할 계획이다. 특구재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연구개발특구 기업의 투자 수요를 발굴·선정(15개사)하고, 발명진흥회는 IP평가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공동 데모데이(IR)·투자 상담을 통해 특구펀드, IP펀드 등 양 기관이 구축한 투자조합으로 연계하여 특허 등 전략적 자산으로 그 역량을 활용하는 기업들에게 스케일업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작년 특구재단과 발명진흥회는 시범사업을 통해 특구 내 소재 딥테크 기업
아시아나항공이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직원 자녀들에게 첫 입학 축하 선물을 전달했다. 아시아나항공은 2018년생 자녀 315명에게 학용품으로 구성된 선물세트와 축하카드를 전달했다. 아시아나가 직원 자녀들에게 축하선물과 메시지를 전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선물세트는 각종 문구용품과 함께 탁상시계, 텀블러 등 다양한 구성을 어린이 맞춤형 색동크루 캐릭터 디자인의 선물상자에 담아 아이들의 호응을 얻었다. 선물상자안에 담겨 있는 축하카드에서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부모님이랑 아시아나항공에서 새롭게 일하게 된 조원태 아저씨”라며 본인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이어서, “처음 시작하는 학교생활은 마치 비행기 여행 같아요”, “설레는 여행처럼 학교생활도 즐겁고 신나는 모험이 될 거에요” 등 ‘비행기’를 테마로 아이들 눈높이에 맞추어 이야기를 전했다. 끝으로 “아시아나항공 비행기가 높이, 멀리 날아가듯이 여러분도 꿈을 향해 힘차게 날아오르길 바랄게요”라며 직원 자녀들을 향해 진심이 담긴 응원을 전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임직원의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을 위해 육아휴직, 출산휴가 등 모성보호제도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캐빈승무원을 대상으로 휴직기간별 맞춤형 복직 교육
KAI(한국항공우주산업(주))와 인도네시아 PT PDS社는 28일 KAI 협력사 항공 전문인력 양성 및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KAI 상생협력실 이용기 실장과 인니 이주 노동자 보호 차관(Irjen Pol, Dwiyono), 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대행, PT PDS 대표 등 주요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 PT PDS사는 인도네시아의 최상위 인력 양성 및 송출 기업으로서, 인니 현지 항공우주기업(PT DI社 등)과 협업하여 항공우주 특화 아카데미를 개설하여 전문인력을 양성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KAI는 ▲협력사들의 해외인력 공급 발판을 인니로 확대하고, PT PDS는 ▲우수한 항공부품제조 전문인력을 양성하게 되며, 국내 협력사들은 ▲해외 인재 채용을 통해 인력 수급을 안정화한다는 계획이다. KAI는 2024년 5월 베트남과 외국인 전문인력 취업비자와 연계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시작하였으며, 협력사들의 긍정적인 반응에 힘입어 협력 국가 확대를 물색하였다. KAI 상생협력실 이용기 실장은 “인도네시아의 풍부한 인적 자원과 우수한 항공 인프라를 활용하여 수준 높은 인력을 양성해 협력사들의 인력난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지난 1월 튀르키예 수상에 이어 호주에서 렉스턴 스포츠가 최고의 픽업에 선정되는 등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력과 시장성을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다. 렉스턴 스포츠(수출명 무쏘)가 최근 호주 유력 온라인 자동차 매체인 Drive 로부터 2년 연속 최고의 픽업(COTY 2025, Car of the Year 2025)에 선정됐다. Drive는 매년 세그먼트별로 총 12개의 카테고리와 가격대(세그먼트 별 2~3개 가격대로 세분화)별로 후보를 선정해 세부적인 평가와 시승 등을 통해 최종 수상자를 결정하게 된다. Drive는 “렉스턴 스포츠는 수년간 지속적인 상품성 개선을 통해 경쟁사 대비 우수한 제품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며, “특히 강력한 파워트레인과 안정적인 주행 성능은 물론 편안하고 조용한 실내 그리고 첨단 안전 및 편의 사양을 갖춘 픽업이다.”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호주 자동차시장은 캐러밴 등을 활용해 다양한 야외활동을 즐기는 소비자가 많은 시장으로, SUV와 픽업 모델의 시장 점유율뿐만 아니라 판매도 큰 폭으로 늘고 있어 KGM에 있어 크게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시장이다. KGM은 지난 2018년 호주에 첫 직영 해외
신용보증기금(이사장 최원목)이 지난 27일 대전시 유성구에 위치한 엑스포타워에서 ‘대전금융허브센터’ 개소식을 개최하고, 대전시와 지역 혁신기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대전금융허브센터’는 수도권에 집중된 특화금융 창구를 지방으로 확장하기 위해 신설한 조직이다. 이를 통해 신보는 지방기업의 혁신성장을 촉진하고 다양한 금융 수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유득원 대전시 행정부시장을 비롯한 지역 기업 대표, 유관기관 및 금융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해 센터 개소를 축하하고, 향후 운영 방향과 역할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신보와 대전시는 이날 개소식에서 ‘지역 유망기업 발굴 및 성장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지역 혁신기업에 대한 지원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협약에 따라 신보는 대전시가 추천하는 기업의 복합수요 충족을 위해 맞춤형 종합솔루션 ‘이노베이션1’을 비롯해 투자, 팩토링, 문화콘텐츠보증 등 각종 융·복합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대전시가 정책사업 참여기업을 효과적으로 발굴하고 선정할 수 있도록 기업 빅데이터 플랫폼 ‘BASA’를 통한 경영진단·성과분석서비스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최원목 신보 이사
LH 임대주택 스마트홈 플랫폼인 ‘홈즈(Homez)’와 LG전자의 가전제품 플랫폼 ‘씽큐(ThinQ)’의 연동으로 입주민들의 가전제품 활용도가 더욱 높아진다. 두 플랫폼이 연동되면 LH 임대주택 내 LG전자의 에어컨, 세탁기, 건조기, 로봇청소기 등 다양한 가전제품을 ‘홈즈(Homez)’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LH 임대주택 스마트홈 플랫폼인 ‘홈즈(Homez)’는 임대주택 내 조명, 난방, 환기 등 다양한 주거환경을 입주민이 원격으로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지난 ‘23년 과천지식정보타운 S-10 블록(605세대)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총 12개 단지 2,154호에 서비스가 적용됐다. 신축 임대단지 위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를 위해 LH는 28일(금) LH 경기남부지역본부에서 LG전자와 스마트홈 플랫폼 연동 및 가전제어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을 통해 LH와 LG전자는 상반기 중 두 플랫폼을 연동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개발해 나간다. 지속적인 테스트를 거쳐 시스템 안정성과 기능을 검증한 뒤 하반기에는 이를 토대로 서비스 적용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사업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협약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