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중앙회(회장 오화경)는 저축은행의 부실 PF채권 정리를 위해 캠코와 약 2,000억원 수준의 채권 매각에 더하여, 업계 자체적으로 2,000억원(22개사) 수준의 펀드(2차) 조성을 추진중 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33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 정리펀드(1차)의 투자 완료에 이어, 추가로 PF대출 취급 상위사 및 지주계열 저축은행 중심으로 약 2,000억원(22개사) 수준의 부실채권 정리펀드(2차)를 조성하고 있으며 신속하고 효율적인 투자 진행을 위해 복수의 운용사를 선정하여 펀드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축은행중앙회 오화경 회장은, 그간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PF자산 매각 등 자구노력을 하여 왔으나, 시장의 수요 및 가격 차이․대주간 협의의 어려움 등으로 매각에 애로를 겪어 왔다면서, 동 펀드가 이러한 부분에 대한 보완 기능을 통해 저축은행의 부실자산 정리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업계가 스스로 PF대출 연착륙을 위해 자발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당국이 발표(’24.5.13일)한 “부동산 PF 질서있는 연착륙을 위한 향후 정책방향”과 관련하여 저축은행중앙회(회장 오화경)는 PF사업장의 재구조화 및 유동성 지원, 저축은행 유가증권 투자한도 등 한도 규제의 한시적 완화 등 인센티브 제공은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정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과 관련하여 일부에서는 저축은행의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는 시각이 있으나, 저축은행 업권은 충분한 자본적정성 보유(BIS비율 14.35%, ’23.12월말 기준) 및 그간 선제적 충당금 적립 등으로 충분히 감내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저축은행 업계는 앞으로도 참여 저축은행 확대 및 다양한 매각 구조 검토 등을 통해 추가적(3,4차)인 펀드 조성을 추진하는 한편, 경공매 활성화, 자체상각 등을 통해 부실자산을 조속히 정리하여 서민과 중소상공인 등 거래자가 안심하고 저축은행을 믿고 이용할 수 있도록 건전성 제고 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