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9.5℃
  • 맑음강릉 12.2℃
  • 맑음서울 11.7℃
  • 맑음대전 10.8℃
  • 맑음대구 11.5℃
  • 맑음울산 12.2℃
  • 맑음광주 9.9℃
  • 맑음부산 14.3℃
  • 맑음고창 8.0℃
  • 맑음제주 12.8℃
  • 맑음강화 12.0℃
  • 맑음보은 7.3℃
  • 맑음금산 8.2℃
  • 맑음강진군 10.3℃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5℃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LG유플러스, 3분기 영업이익 1.3% 증가한 2141억...‘유·무선 사업 안정적 성장’

“AI 등 신사업 분야 역량 강화 통한 핵심사업 경쟁력 제고, 실적 상승세 이어나갈 것”

[웹이코노미= 손정호 기자] LG유플러스는 유·무선 사업 안정적 성장으로 3분기 1.3% 증가한 영업이익 2141억 원을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회사 측에 의하면 총 수익(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1.8%, 전분기대비 1.7% 증가한 3조596억 원을 달성했다. 영업수익(매출서 단말수익을 제외한 수익)은 전년동기대비 5.2%, 전분기대비 1.9% 성장한 2조3772억 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차입금 상환에 따른 이자비용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6.6%, 전분기대비 4.8% 증가한 1428억 원을 보였다.

 

 

 

영업수익(무선·유선수익 등을 합산한 수익) 중 무선수익은 LTE 고가치 가입자 순증 지속과 월 평균 데이터 사용량 증대로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한 1조4065억 원을 기록했다.

 

 

 

3분기 LG유플러스 전체 무선가입자 1303만3000명 중 LTE 가입자는 1186만1000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91%에 달했다. 무선수익 성장을 견인한 양질의 무선가입자 확보는 멤버십 혜택 확대, 결합 및 장기 고객을 위한 U+가족무한사랑 등 할인 프로그램 요인으로 풀이했다.

 

 

 

3분기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은 선택약정할인율 증가 등의 요인으로 3만5316원을 기록하며 전분기대비 1.19% 하락했다.

 

 

 

하지만 총 순증 가입자가 전분기대비 9.8% 증가한 20만2000명을 기록하며 양적 성장을 지속한데다 질적 성장 측면 역시 MNO 순증 비중을 85%로 유지하며 안정적 무선수익 상승세를 이어갔다.

 

 

 

유선수익(IPTV·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데이터수익·전화수익을 합산한 수익)은 TPS 사업과 데이터 사업의 수익 증가 영향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7.3% 상승한 9622억 원을 달성했다.

 

 

 

유선수익 중 TPS 사업 수익은 전년동기대비 12.2% 성장한 449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IPTV 및 기가인터넷 가입자 성장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분석했다.

 

 

 

IPTV 가입자는 전년동기대비 16.6%, 전분기대비 3.6% 증가한 342만9000명,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는 전년동기대비 5.6%, 전분기대비 1.3% 증가한 376만8000명을 기록했다.

 

 

 

데이터수익은 e-Biz(전자결제·기업메시징·웹하드 등) 사업 수익 증가 영향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5.2% 증가한 4243억 원을 기록했다. e-Biz 수익은 추석 연휴 특수에 따른 온라인과 모바일 결제 시장 성장, 대형 고객 유치로 작년 동기 대비 15.3% 증가한 1878억 원을 달성했다.

 

 

 

아울러 홈IoT 서비스는 3분기 말 기준 92만 가입 가구를 확보해 올해 목표 가입 가구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비용의 경우 3분기 마케팅비는 총판매 증가 영향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13.4% 증가한 5520억 원이 집행됐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도 획기적인 단말 구매 지원 프로그램 출시 등 고객의 실질적 가치 제고를 위한 비용 집행을 이어갈 예정이다.

 

 

 

3분기 CAPEX는 NB-IoT 전국망 구축과 홈 커버리지 확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12.6%, 전분기대비 27.7% 증가한 3147억 원을 집행했다.

 

 

 

LG유플러스 CFO(최고재무책임자) 이혁주 부사장은 “3분기 LG유플러스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전 사업 부문에서 양질의 성장을 지속하며 미래수익 기반을 공고히 했다”며 “기존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AI 등 신사업 분야 역량 강화, 핵심사업 경쟁력 제고로 실적 상승세를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webeconomy@naver.com

 

 

 





레저·여행·음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