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민관합동조사단 BMW 화재결함 원인조사 최종 결과를 발표한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박삼수 공동 조사단장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사진=뉴시스)[웹이코노미 박진 기자] 정부는 BMW가 화재 발생 위험을 미리 감지하고도 결함을 은폐·축소하고 늑장리콜을 했다는 조사결과를 내놨다. 이에 따라 정부는 BMW에 대해 형사고발, 과징금 112억원 부과, 추가리콜 등의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EGR쿨러 균열이 화재 원인…애초 설계결함 국토교통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BMW 화재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지난 8월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이 제출한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자동차·법률·소방·환경 전문가, 국회, 소비자단체(19명)와 자동차안전연구원(13명) 등 32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은 그동안 BMW로부터 제출받은 자료검증과 엔진 및 차량시험을 병행해 화재원인 등을 조사했다. 조사단은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창지인 EGR 쿨러의 균열로 냉각수가 새 그 침전물이 쌓여 화재를 일으킨 것으로 판단했다. 다시 말해 EGR 쿨러에 균열이 생겨 냉각수가 새고, 이러한 냉각수가 엔진오일 등과 섞여 EGR 쿨러와 흡기다기관에 흡착된 상태에서 500℃ 이상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달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국토교통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사진=뉴시스)[웹이코노미 박진 기자]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8일 오후 2시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을 방문해 BMW 차량화재에 따른 제작결함조사 진행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에는 외부전문가, 자동차안전연구원 제작결함조사 요원 등이 참석, BMW 화재 발생에 대한 조사추진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김현미 장관은 “화재발생 원인에 대해 제기된 모든 원인에 대해 철저하게 조사할 계획이다”며 “많은 전문가의 참여를 통해 조사 기간을 단축시켜 최대한 올해 안에 조사를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처리 과정을 촘촘하게 재정비하고 소비자의 권리가 안전과 직결된다는 관점에서 관련법과 제도를 종합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장관은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관계기관과 협의해 적극 추진하겠다”며 “늑장 리콜 또는 고의로 결함 사실을 은폐·축소하는 제작사에 대해서는 다시는 발을 붙이지 못할 정도의 엄중하게 처벌하는 제도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리콜대상
(사진=Pixabay) [웹이코노미=이선기 기자] 국내에서 판매된 벤츠와 BMW의 자동차 3,302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제작사들이 리콜 조치에 나섰다. 국토교통부는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BMW코리아에서 판매한 자동차 54개 차종 3,302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고 14일 밝혔다. 벤츠코리아에서 수입해 판매한 GLS 350d 4MATIC 등 21개 차종 1,440대는 차량 문 잠금장치에서 결함이 발견됐다. 운전자가 차량의 문을 내·외부에서 잠그더라도 좌측 뒷문이 잠기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차량은 14일부터 벤츠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점검 후 교체 등)를 받을 수 있다. BMW코리아에서 수입해 판매한 X6 xDrive35i 등 33개 차종 1,862대의 차량은 2가지 리콜을 실시한다. X6 xDrive30d 등 30개 차종 1,783대에서는 에어백 전개 시 인플레이터의 과도한 폭발압력으로 발생한 내부 부품의 금속 파편이 운전자 등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확인됐다. BMW C 650 SPORT 등 3개 이륜차종 79대는 계기판 소프트웨어 오류로 엔진 경고등 기능이 정상 작동되지 않는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