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전기·전자·화학

"한국, 중국보다 IT기업 M&A 활용도 뒤처져... M&A를 성장전략으로 인정해야"

전경련 "반도체 제외한 전분야 M&A 건수에서 중국이 한국 앞서"

[웹이코노미=이지웅 기자] 우리나라가 중국에 비해 IT기업 M&A(인수합병) 활용도가 현격히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지난 15년(2005~2019)간 인수기업 수를 기준으로 이뤄진 전 세계 IT산업 M&A 시장 점유율을 분석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IT M&A의 3분의 1 가량을 미국이 차지하며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연평균 증가율 1위(22.9%)로 공격적인 M&A 전략을 펼쳐왔다.

 

지난 15년과 최근 5년간의 점유율을 비교해보면 역시 미국이 1위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으나, 점유율은 감소 추세(32.6%→25.5%)를 보였다. 중국은 9위에서 5위(2.4%→4.4%)로 급상승했다. 반면 한국은 지난 15년과 최근 5년간의 M&A 시장 점유율이 모두 12위(1.9%→2.3%)에 머물렀다.

 

 

IT 세부산업(반도체·소프트웨어·IT 하드웨어·통신서비스)별 M&A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은 반도체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중국·일본보다 뒤쳐졌다.

 

지난 2016~2020년 반도체 M&A 건수는 미국 103건, 한국 92건, 중국 74건, 일본 44건 순으로 한국이 중국을 앞섰다. 그러나, 작년 중국의 반도체 시장점유율이 한국(19%)보다 뒤처진 5%인 점을 감안하면 중국이 활발한 반도체 M&A로 한국을 바짝 추격하고 있는 상황이다.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같은 기간 일본이 142건, 중국이 103건의 M&A를 하며 한국(64건)을 앞섰다.

 

IT 하드웨어에서는 중국이 279건의 M&A로 2위를 차지했고, 일본은 134건으로 6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92건으로 8위에 머물렀다.

 

통신서비스에서도 한국(111건·14위)은 중국(187건·8위)과 일본(171건·9위)에 뒤졌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여파에도 올해 상반기 전체 M&A 중 기술 M&A가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작년보다 증가했다(15.4%→22,4%)"며, "코로나 이후 M&A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전경련은 "중국은 M&A 시장이 위축됐던 글로벌 금융위기를 활용해 M&A 전략을 적극 추진, 중국 해외 M&A 규모는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약 12배 급증했다"며, "금융위기 당시 M&A가 에너지·자원 확보와 제조업 기반 강화 중심이었다면, 이후에는 첨단기술 획득을 통한 산업고도화 수단으로 확대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중국 IT기업 텐센트와 알리바바는 적극적인 M&A 전략을 통해 현재 세계 시가총액 10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유일한 비(非)미국기업으로 성장했다. 두 기업의 2008~2019년간 M&A·투자건수는 각각 713건, 502건에 달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코로나19 위기 뒤에 산업계의 글로벌 지각변동에 따른 황금기회가 곧 올 것"이라며, "글로벌 경쟁에서 우리 경제가 크게 성장하기 위한 발판으로 M&A 활성화를 적극 고려해 볼만 하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블랙홀처럼 글로벌 첨단기업들을 빨아들이고 구글, 애플, 아마존 등도 M&A로 신성장동력 확보와 기존 사업과의 시너지를 이루고 있다"며, "한국도 M&A를 기업의 성장전략으로 인정하는 문화와 함께 지주회사 기업형 벤처캐피털(CVC) 허용을 제도화하는 등 기업 M&A에 최대한 우호적인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지웅 웹이코노미 기자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