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9.7℃
  • 맑음강릉 18.8℃
  • 맑음서울 20.2℃
  • 맑음대전 21.0℃
  • 맑음대구 23.9℃
  • 맑음울산 16.1℃
  • 맑음광주 22.4℃
  • 구름조금부산 15.9℃
  • 맑음고창 19.2℃
  • 구름조금제주 17.3℃
  • 맑음강화 13.9℃
  • 맑음보은 20.8℃
  • 맑음금산 20.7℃
  • 맑음강진군 19.3℃
  • 맑음경주시 19.0℃
  • 맑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중소기업

[미래로 시사상식] 2021대입 면접 논술 대비 시사상식: 게임이론_제로섬게임과 논 제로섬게임

 

우리는 비단 경제학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 의사결정 상황에서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이러한 현실상황에서는 상대방의 행동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고 나의 행동이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나의 선택은 상호적 영향력을 고려할 것이고 이런 상황에서의 선택이 바로 전략적 선택이다.

 

전략적 행동과 그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 도구 중 하나가 바로 게임이론이다. 게임이론이란 의사결정 상황에서 경기자들이 자신의 이익 극대화를 위한 전략을 선택하는 행위와 그 균형에 관한 이론으로 이해할 수 있다. 경제학에서 게임이론이 적용되는 상황은 매우 다양한데 그 중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제로섬 게임과 논 제로섬 게임이다. 제로섬 게임이란 두 경기자의 보수 합이 항상 0인 게임을 의미한다. 제로섬 게임에는 항상 승자와 패자가 있는데 승자의 이익과 패자의 손실의 합이 항상 0이다. 반면 논 제로섬 게임은 승자의 이익이 꼭 패자의 손실로 이어지지 않는다.

 

제로섬 게임의 구체적인 사례가 바로 도박이다. 도박에 참가하는 자들이 베팅한 돈은 게임의 결과에 따라 승자에게로 넘어간다. 반면 돈을 잃은 패자는 금액을 모두 잃는다. 게임이 끝나고 승자의 이익과 패자의 손해를 합하면 그 값은 0(zero)이 된다. 제로섬 게임을 간단하고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예시라 할 수 있다.

 

현실상황에서는 제로섬 게임보다 논 제로섬 게임이 더 많이 존재한다. 논 제로섬 게임의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죄수의 딜레마이다. 각각 분리된 공간에서 두 죄수는 자백과 침묵이라는 두 가지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자백, 자백), (침묵, 자백), (자백, 침묵), (침묵, 침묵)의 선택상황에서 각 죄수가 받는 형벌은 (징역8년, 징역8년), (징역20년, 무죄), (무죄, 징역20년), (징역1년, 징역1년)이다. 두 사람의 이익이 양립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개인적으로 최선이라 생각한 선택이 결과적으로는 최악의 선택에 이르게 된다는 딜레마이다. 분리된 공간에서 야기된 두 죄수간의 신뢰와 소통의 부재라는 상황적 원인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제로섬 게임과 논 제로섬 게임은 비문학 지문의 제재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입면접과 논술에서도 종종 활용되는 소재이다. 대입 면접과 논술에 대비하는 시사상식, 경제학과를 목표로 하는 수험생이라면 제로섬 게임에 대해 알아 둘 필요가 있다.

 



김은성 입시멘토(미래로 입시컨설팅)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