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산업종합

GIST 박사 연구원 2명, 교육부 학문후속세대지원사업 선정

융합기술학제학부 이지은 연구조교수,
Ahmed Elsharkawy 박사후연구원 제안 연구주제 선정
3년간 연구비 4.5억원 지원받아
김승준 교수 멘토로 참여
가상현실 및 로봇공학 기술 융합을 통한
실감 햅틱 피드백 제공과
신체 이동 가이던스 기술개발 목표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은 융합기술학제학부 이지은 연구조교수와 아메드(Ahmed) 박사후연구원이 제안한 ‘개인용 로봇(personal robot) 기반의 실시간 동적 실-가상 햅틱 피드백 시스템 개발 연구’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4년도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 대상 과제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8월 30일 협약을 맺고 향후 3년간(2024년 8월 – 2026년 8월) 총 4억 5000만 원을 지원받아 가상현실(VR) 사용자가 물리적 상호작용을 체험할 수 있는 로봇 기반 햅틱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고, 인간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가상현실 사용자가 신체 동적 활동(이동 및 회전 등)에 상응하는 햅틱 피드백을 받기 위해서는 여러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과 함께 장비를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VR 헤드셋을 착용한 사용자는 실제 주변 환경을 볼 수 없으므로 몸의 움직임으로 인해 주변의 장애물과 충돌할 위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당 연구팀은 로봇, 특히 개인용 로봇을 상호작용 매개체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역동적인 움직임에 맞춰 시점과 위치에 적절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신체 이동에 따른 안전 문제를 예방하는 이동 가이던스 기술을 제안하였다.

 

융합기술학제학부 김승준 교수는 해당 과제에 선정된 연구원들과 멘토-멘티 관계를 기반으로 공동연구 수행을 지원한다.

 

연구책임자인 이지은 연구조교수는 “가상현실과 로봇공학 기술의 융합은 로봇이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는 미래를 준비하는 도전적인 접근 방식”이라면서 “이 연구를 통해 현실처럼 실감하고 신체 활동이 자유로운 가상현실 및 로봇 시스템의 공존을 한발 앞당기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승준 교수는 “GIST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박사후 연구를 수행한 두 연구자들이 독립된 연구자로 성장한 모습을 지켜보며 매우 대견하고 보람을 느낀다”면서 “Post-Doc. 성장형 공동연구사업이 융합연구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