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KOTRA, 인도,사우디에서 한국 자동차산업의 성장 엔진 점화한다

2024.06.04 08:41:27

4일 인도 첸나이서 ‘2024 한-인도 미래자동차 파트너링 플라자’ 개최
사우디 모빌리티 진출 희망 기업 대상 ‘모빌리티 공급망 진출전략 웨비나’ 동시 진행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KOTRA(사장 유정열)는 인도와 사우디아라비아의 모빌리티 공급망 진입을 희망하는 국내기업을 돕기 위해 이달 4일 인도 첸나이에서 ‘2024 한-인도 미래 자동차 파트너링 플라자(이하 파트너링 플라자)’를 개최하고, 같은 날 ‘사우디 모빌리티 공급망 진출전략 웨비나(KSA Autoconnect Webinar with KOTRA)’를 진행한다.

 

파트너링 플라자는 인도에 있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과 한국 자동차 부품사 간의 신제품 개발, 부품공급 등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인도 첸나이는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 생산시설 투자가 유입되는 허브인 만큼, 우리 기업의 현지 밸류체인 진입과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발굴하는 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행사에는 △르노 닛산 (Renault Nissan) △이스즈(ISUZU) △스텔란티스(Stellantis) △타타오토컴프(Tata Autocomp) △다임러(Daimler) △아쇽 레이랜드(Ashok Leyland) △올라(OLA) △캐터필러(Caterpillar) 등 글로벌 기업과 KOTRA의 지사화 기업을 포함한 국내기업 등 총 60개사에서 약 1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주요 행사는 ▲인도 미래차 시장전망 및 진출방안 세미나 ▲일대일 수출상담회로 구성됐다.

 

먼저 세미나에서는 KOTRA가 전기차를 포함한 인도 자동차 시장의 트렌드와 시장 진출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이어서 인도 최대 상용차 기업인 아쇽 레이랜드(Ashok Leyland)와 올라(OLA)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해 자사 사업 현황과 구매 정책 등을 설명한다. 

 

이어서 진행되는 상담회에서는 글로벌 OEM 기업과 부품사들이 △스위치 △센서 △브레이크 등 내연기관 차량 품목부터 △배터리 △쿨링 등 약 40개가 넘는 수요품목에 대해 국내 부품기업과 폭넓은 상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같은 날인 4일 사우디아라비아 산업광물자원부 산하 국가산업개발센터(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Center, NIDC)와 함께 ‘사우디 모빌리티 공급망 진출전략 웨비나(KSA AutoConnect Webinar with KOTRA)’를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는 우리 기업의 사우디 공급망 진입과 현지 투자 기회 발굴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국시간으로 6월 4일 오후 4시부터 2시간 동안 진행될 예정이며, KOTRA 무역투자24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사우디는 중장기 국가발전전략인 ‘비전 2030’의 일환으로 경제 다각화에 적극적이다. 특히 사우디 정부는 2030년까지 수도 리야드 내 신차 판매의 30%를 전기차로 대체하고, 신도시 네옴은 100% 전기차만 운행토록 할 계획이다. 또한 작년 10월 사우디 국부펀드인 PIF(Public Investment Fund)는 현대자동차와 5억 달러 이상을 공동투자해 킹압둘라경제도시(KAEC)에 2026년부터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등 다양한 차종을 연간 5만 대 생산할 수 있는 CKD 공장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웨비나에서는 전략산업 진흥기관인 국가산업개발센터(NIDC)와 사우디 투자부(MISA) 관계자가 연사로 참여해 사우디 모빌리티 산업 동향과 현지 투자 인센티브를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CEER 모터스와 LUCID 모터스의 조달·공급망 분야 책임자가 한국기업과의 협력 요인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정외영 KOTRA 혁신성장본부장은 “인도와 사우디를 비롯한 신흥 시장의 모빌리티 부문 수요는 국민 소득과 인구 증가에 힘입어 급증하는 추세”라며, “기술력을 갖춘 한국 부품기업들이 더 많은 관심을 두고, 모빌리티 시장진출의 교두보로 삼으려는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을 꾀한다면 새로운 기회를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종호 기자 ys@newsbest.kr
<저작권자 © 웹이코노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등록번호 : 서울 아02404 | 운영법인: 주식회사 더파워 | 발행·편집인 : 김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호 | 발행일자(창간) : 2012년 5월 10일 | 등록일자 : 2013년 1월 3일 주소 :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 94, 2층 202호-A1실(방화동) | (기사·광고문의) 사무실 02-3667-2429 휴대번호 010-9183-7429 | (대표 이메일) ys@newsbest.kr 웹이코노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웹이코노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