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이코노미=박지민 기자] 검찰이 이명박(MB)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의 일명 '문화계 블랙리스트'와 박원순 서울시장 사찰 의혹 등과 관련해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한 가운데 '윗선'을 정조준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은 MB 정부 당시 국정원이 대한민국어버이연합(어버이연합) 등 보수단체를 동원해 친정부성향의 댓글과 시위 활동을 지원해 일명 '좌편향' 문화계 인사에 대한 압박 등을 주도한 정황과 증거를 포착하고 추선희 전 어버이연합 사무총장 등을 소환조사했다.
24일 검찰에 따르면 최근 소환조사를 받은 추 전 총장은 MB 정부 시절 국정원의 자금 지원이 있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했다. 10여회(2010년부터 2012년)에 걸쳐 기업후원금(약 3000만원)을 받았다는 것. 어버이연합에 돈을 건넨 기업인은 민병주(구속) 전 국정원 심리전단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검찰 조사를 받은 민 전 단장은 '사이버외곽팀'의 불법 선거운동·정치관여 활동비 수십억원을 지급했다는 혐의 등으로 지난 19일 구속됐다. 국민혈세인 국고지원금이 불법전용된 셈이다.
일명 '문화계 블랙리스트' 피해자 중 한 명인 배우 문성근씨는 지난 18일 검찰에 출두해 참고인 조사를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 국고가 어버이연합에 지원된 것을 뒷받침해주는 국정원 내부문건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문씨는 어버이연합에게 돈을 지불하면서 규탄 시위 등을 하라는 지시, SNS 등에서 제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다양한 공격 등이 있었다고 취재진에 밝혔다.
문씨는 자신과 여배우 김여진씨의 '나체 합성사진'이 지난 2011년 인너텟상에서 유포돼 피해를 입기도 했다. 당시 해당 사진을 제작·유포한 혐의(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및 국정원법상 정치관여)로 전 국정원 심리전단 팀장 유모씨가 지난 22일 구속됐다.
검찰은 'MB국정원' 여론조작 활동을 지시·지휘한 '컨트롤 타워'를 찾아내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은 일단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이번주 중으로 소환해 국정원 댓글 활동, 문화계 블랙리스트 등 여론조작 활동 전반에 대해 조사하는 한편 원 전 원장 조사 내용에 따라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 여부가 판가름날 것이라는 게 법조계 안팎의 견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