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이코노미 창녕군청] 김영섭 기자 = 성낙인 경남 창녕군수가 민선8기 3주년을 맞았다.
창녕군은 ▲유네스코 3관왕 달성 ▲맞춤형 복지정책 추진을 통한 6관왕 수상 ▲지속 가능한 농업 육성 ▲연중 볼거리․즐길거리 관광인프라 조성 ▲ 당초예산 7,100억 원 시대 개막 등 군정 전반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발로 뛰는 현장행정을 통해 ‘창창한 창녕’ 실현에 한층 더 박차를 가하고 있다.
창녕군은 인류무형문화유산, 세계유산, 생물권보전지역 등 유네스코 3개 분야에 모두 등재되며 국내외에서 생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는 지자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5년 영산줄다리기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시작으로, 2023년에는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이 세계유산으로, 2024년에는 창녕 전역이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며 유네스코 3관왕을 달성했다.
이에 발맞춰 군은 생물권보전지역의 체계적인 보전과 관리를 위한 관리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통해 유네스코 브랜드와 관광자원을 연계한 발전 전략을 마련하고,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고분군 홍보사업과 창녕박물관 복합문화관 증축 등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인프라 확충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성낙인 창녕군수의 복지 행정은 ‘군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맞춤형 복지’를 핵심 기조로, 읍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의 협력, 행복지킴이단 운영, 우체국 안부살핌 우편서비스 등을 통해 위기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지원하며,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주력한 촘촘한 복지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창녕군은 지난해 보건복지부 등으로부터 총 6관왕을 수상했으며, 7년 연속 대상과 10년 연속 수상이라는 성과를 달성했다. 현재는 도내 군부 최대 규모인 43개 사업단, 2,660명이 참여하는 노인일자리 사업을 비롯해, 장애인복지시설 클러스터 조성, 치매안심센터 신축 등 중장기 복지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창녕군은 전국 마늘 생산량의 21.5%를 차지하는 최대 주산지이자, 양파 재배의 시배지로서 농업이 지역경제의 핵심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군은 대도시 판촉행사,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운영을 통한 안정적인 급식재료 공급, 대기업과의 협업 등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군은 청년농업인 육성, 친환경농업 확대, 축사시설 현대화 등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을 이어가는 한편, 라오스와의 업무협약(MOU)을 통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확대, 농기계임대사업소 휴일 운영, 농촌인력중개센터 활성화, 마늘․양파 재배 기계화율 확대 등 농촌 인력난 해소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부곡온천 관광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공공급수시설 설치를 추진 중이며, 창녕대합산단 산업선이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성낙인 군수는 “이제 창녕은 유네스코 3관왕의 도시에 걸맞게 변모를 이룰 시기”라며, “머물고 싶고 다시 찾고 싶은 창녕을 만들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