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 공공기관과 시민사회단체의 지속가능한 공생 생태계 조성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부산광역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 강주택 의원(국민의힘, 중구)은 27일 열린 제327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5분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시와 시민사회단체가 상생하는 지속 가능한 협력 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촉구했다.
현재 부산에는 다양한 시민사회단체가 존재하지만, 대부분 영세한 규모로 인해 지속적인 활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으로 시민사회단체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공공기관 및 학계와 협력하여 체계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광역시 시민운동 지원조례'에 의거 (사)부산시민재단이 부산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는 ‘시민운동지원센터’에서 매년 부산시민운동단체 현황을 파악하고 있으나, 2022년 기준 915개 단체 중 조사 완료된 단체는 291개에 불과했다. 이는 많은 단체가 비영리 민간단체로 등록되지 않아 지원 및 현황 파악이 어려운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는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고 갈등을 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지속적인 재정 지원과 조직적 안정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체계적인 조사와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강주택 의원은 시민사회단체와 부산시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시민사회단체 실태 조사 체계 구축 ▲시민사회단체 역량 강화 및 연대 지원 ▲시민사회단체의 국제적 활동 확대 기반 마련을 주문했다.
강주택 의원은 “부산의 지역소멸 및 인구소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산시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단체, 학계, 지역 커뮤니티가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부산시가 시민사회단체와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지속 가능한 시민사회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시민사회단체의 발전과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마련함으로써, 공익활동을 촉진하고 건강한 시민사회를 형성하는 데 앞장설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