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김시연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3년 후 서울 내 매매가격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절반 가량 사라진 반면 9억원 이상 아파트는 두 배 이상 늘어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한국감정원의 지난 2017년 5월부터 올해 6월까지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 내 시세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2017년 5월에는 67.3%였으나 3년이 뒤인 올해 6월에는 29.4%로 절반 가량 감소했다고 밝혔다.
반면 같은기간 시세 9억원 초과 아파트 비율은 15.7%에서 39.8%로 2.5배 정도 증가했다.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비중도 3.9%에서 15.2%로 늘어났다.
서울 자치구 중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가장 크게 감소한 지역은 강동구로 지난 2017년 5월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은 74.9% 였으나 지난 6월에는 66.0%p 급락한 8.9%를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강동구 내 9억원 초과 아파트는 0.4%에서 49.0%로 오히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이 줄어든 것은 다른 지역들도 마찬가지였다. 동일한 기간 동안 성북구의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율은 97.0%에서 33.6%로 감소했고 동대문구는 88.9%에서 26.0%로 급감했다. 서대문구 역시 88.6%에서 26.5%로 줄어들면서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절반 이상 사라졌다.
이른바 ‘마용성(마포구·용산구·성동구)’으로 불리는 집값 상승 지역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마포구는 6억원 이하 아파트가 2017년 5월 당시 54.3%였지만 올해 6월에는 6.1%에 불과했다.
성동구는 60.6%에서 2.4%로 줄었으며 광진구도 6억원 이하 아파트가 53.9%에서 3.5%로 급감했다. 동작구도 59.7%에서 4.5%로 6억원 이하 아파트가 점점 자취를 감쳤다.
고가 주택이 많았던 강남지역은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시기 동안 강남구는 15억원 초과 아파트 비율이 26.8%에서 73.5%로 급증했고 서초구는 22.4%에서 67.2%로 늘어났다. 송파구는 5.3%에서 43.1%로 15억원 초과 아파트 비율이 폭증했다.
webeconom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