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이코노미뉴스]이재명, 기본대출권 주장...수탈적 서민금융은 황구첨정, 백골징포

  • 등록 2020.09.12 22:53:19
크게보기

[웹이코노미 장순관 기자]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기본대출권에 대하여 언급했다. 이 지사는 '우리나라는 전액 무상인 복지와 전액 환수하는 대출제도만 있고 그 중간이 없다"며"누구나 저리장기대출을 받는 복지적 대출제도가(기본대출권)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서민금융을 함께 사는 공동체로 만드는 일도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기본소득과 주택 그리고 재난지원금 관련한 자신의 주장에 기본대출 개념까지 포함해 기본권에 대한 이 지사의 정책을 추가한 셈이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페이스북 전문 이자율 10% 제한, 불법사채무효화에 더해 장기저리대출보장제도(기본대출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국가는 국민이 함께 살려고 만든 공동체이지, 소수 강자의 다수약자에 대한 지배도구가 아닙니다. 모든 국민이 주권자로 평등한 민주공화국에서는 국가권력 행사로 생긴 이익은 국민 모두가 고루 누려야 합니다. 화폐발행(발권)이익도 함께 누려야 할 뿐 아니라 오히려 소수 고액자산가나 고소득자보다 다수 저소득자가 더 많이 혜택을 받아야 실질적 정의에 부합합니다. 한국은행이 화폐를 현재 연 0.5%로 시중은행에 공급하면 대기업이나 고소득자 고자산가들은 연 1~2%대에 돈을 빌려 발권이익을 누리지만, 담보할 자산도 소득도 적은 서민들은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체에서 최대 24% 초고금리로 돈을 빌려야 합니다. 수입이 적고, 담보가 없다 하여 초고금리를 내는 것이 당연한 건 아닙니다. 대부업체는 회수율이 낮으니 미회수위험을 다른 대출자들에게 연 24% 고리를 받아 전가합니다. 90% 이상은 연체없이 고금리 원리금을 상환하면서 다른 이의 미상환책임을 대신 집니다. 어디선가 많이 본 그림 아닌가요? 바로 족징, 인징, 황구첨정, 백골징포입니다. 기막히게도 국가의 서민대출금리도 17.9%입니다. 복지국가라면 서민의 금융위험을 국가가 책임져야 하는데, 국가마저 고금리로 미상환책임을 국민에게 전가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전액 무상인 복지와 전액 환수하는 대출제도만 있고 그 중간이 없습니다. 중간 형태로 일부 미상환에 따른 손실(최대 10%)은 국가가 부담하여 누구나 저리장기대출을 받는 복지적 대출제도가(기본대출권) 있어야 합니다. 대부업체 대출이 약 200만명에 약 17조원이니 연체되는 최대 9%를 전액 국가가 부담해도(이자가 24% 아닌 1%라면 연체도 거의 없을 겁니다만) 적은 예산으로 수백만명이 우량대기업과 같은 조건으로 돈을 빌릴 수 있어 재기도 쉽고 복지대상 전락도 줄어들 것입니다. 1% 성장 시대에 24% 이자 지급하면서 성공할 사업도 사람도 없습니다. 24% 고리대출은 복지대상자가 되기 직전 마지막 몸부림이고, 이를 방치하면 결국 국가는 복지대상전락자들에게 막대한 복지지출을 해야 합니다. 저리장기대출로 이들에게 자활과 역량개발 기회를 주는 것이 개인도 행복하고 국가도 발전하며 복지지출도 줄이는 길입니다. 서민금융을 서민끼리 상호수탈하는 동물의 세계로 방치하지 않고 함께 사는 공동체로 만드는 일도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가능합니다. 우리는 세계 최저수준의 이전소득(정부가 개인에 지급하는 소득)과 그로 인한 최저 국채비율과 최고 가계부채비율을 자랑합니다. 타인의 신용위험을 대신 떠안고 수탈당하다 복지대상자로 추락하지 않도록, 큰 예산 들지않는 저리장기대출제도(기본대출)를 시작할 때입니다. 금융 관련 고위공무원이든, 경제전문가든, 경제기자든 토론과 논쟁은 언제 어디서나 환영합니다. 장순관 기자 webeconomy@naver.com
장순관 기자
<저작권자 © 웹이코노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등록번호 : 서울 아02404 | 운영법인: 주식회사 더파워 | 발행·편집인 : 김영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종호 | 발행일자(창간) : 2012년 5월 10일 | 등록일자 : 2013년 1월 3일 주소 : 서울시 강서구 양천로 94, 2층 202호-A1실(방화동) | (기사·광고문의) 사무실 02-3667-2429 휴대번호 010-9183-7429 | (대표 이메일) ys@newsbest.kr 웹이코노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 웹이코노미. All rights reserved.